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08Estimation of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on Convenience of Heating Systems

난방방식에 따른 소비자 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사용편의성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윤태연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v 144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08
서지주기
참고문헌(p.99-102)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21대출가능-
자료실P42332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도시가스난방 방식과 지역난방 방식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편익을 비교·평가하였다. 보일러 위치, 온수(급탕) 사용, 시설 관리, 그리고 온도 조절이라는 네 가지 부분에서 도시가스난방과 지역난방 방식이 제공하는 상이한 사용편의성의 내용을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비시장재인 난방 사용편의성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의 설문기법인 이중투표모형(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method)이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는 서울 목동과 인천 부평 지역 아파트 거주자 800명을 대상으로 방문조사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가스난방과 지역난방 방식을 선호하는 소비자층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활수준이 높은, 다시 말해 소득과 학력 수준이 높고 비싼 아파트에 거주하며 난방비 지출이 큰 가구에서 지역난방 방식을 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겨울철 전기난방기구나 보온제품들을 사용하고 온도조절장치를 적극 활용하며 부분적으로 실내 난방을 하는, 경제적인 부분에 관심이 큰 가구에서는 도시가스난방 방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를 나타내었다. 지역난방 사용편의성에 대한 가치는 소비자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도시가스난방 요금 대비 지역난방의 요금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응답자 전체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은 4.025%로, 응답자들은 도시가스난방 요금과 비교하여 최대 4.025% 높은 요금을 지불하면서까지 지역난방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한편 도시가스난방 사용자와 지역난방 사용자의 지불의사액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도시가스난방 사용자들은 두 난방방식 간에 특별한 선호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지불의사액 역시 0.104%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지역난방 사용자들의 지역난방 방식에 대한 추가 지불의사액은 7.921%로, 지역난방 방식을 직접 사용하며 경험하는 사용편의성의 가치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범위 제2장 난방 사용편의성 평가방법 1. 난방방식에 따른 사용편의성 가. 보일러(열원) 위치 나. 온수(급탕) 사용 다. 시설 관리 라. 온도 조절 2. 소비자 난방 사용 관련 기존 연구 가. 특성가격법 나. 선택실험법 다. 소비자 난방사용 조사 3. 난방 사용편의성에 대한 소비자 후생 가. 이론적 배경 나. 가상가치평가법 제3장 설문조사 설계 1. 설문조사 고려사항 가. 재화로서의 난방 사용편의성 나. 제시금액 관련 다. 지불수단 관련 라. 설문대상 관련 마. 가상상황 관련 2. 설문조사 준비 가. 설문조사지 설계 나. 설문대상 선정 다. 설문조사 방법 선정 - 이중투표모형 3. 설문지 구성 제4장 설문조사 결과분석 1. 설문 대상자 기초 통계량 가. 가구 특성 나. 아파트 특성 다. 난방사용 특성 2. 사용편의성 지불의사 응답 3. 사용편의성 지불의사액 추정 가. 지불의사액 추정 나. 지불의사액 도출 제5장 결론 1. 정책적 시사점 2.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이중투표모형 <부록 2> 난방비 결정요인 <부록 3> 설문지 예(도시가스난방 사용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