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3

북한 에너지 소비 행태 조사분석 연구: 가정/상업/공공기타부문

연구책임자
김경술
연구참여자
신정수, 김승철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152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3
서지주기
참고문헌(p.149-15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847대출가능-
자료실P42284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84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84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북한의 에너지 공급부족 문제를 논의할 때, 대부분의 경우, 전력 부족으로 인해 석탄광에서 석탄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고, 공장들이 순환공급 방식에 의해 전기가 들어오는 시간에만 가동하므로 가동률이 현저히 떨어지며, 전철화된 철도수송이 여의치 못해 전반적인 경제난을 야기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 경제회복의 핵심은 바로 에너지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전력부문의 정상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존 발전시설들을 현대화하고 송배전시스템도 개보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에너지 시장에서 가장 작은 소비주체라고 할 수 있는 개인들이 생활을 영위하는 가정부문에서의 에너지 소비실태와 해결방안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왜소하다. 이는 북한 스스로도 국가로부터 배급을 중단한 이후 가정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각자가 알아서 해결해야 하는 영역으로 방치해온 지 오래이며 발전, 산업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분야의 에너지 대책에 집중해온 결과이기도 하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대중의 관심으로부터 소외되어온 북한 민생부문 에너지 실태는 여행객들의 증언과 사진 등에 의해 간헐적으로 보도되어 오다가 우리나라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들이 점차 증가하면서 그들의 증언이나 수기 등에 의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렇게 알려진 북한 민생용 에너지 소비실태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 분석하여 동 부문의 장단기적 해결책 강구에 활용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북한 민생에너지 수요부문의 실태 1. 석탄 2. 석유 3. 전력 4. 기타에너지 5. 가스 제3장 북한 민생부문 에너지 소비행태 조사를 위한 새터민 설문조사 1. 조사개요 2. 표본설계 3. 유효 응답표본의 일반 특성 4. 주요 설문내용 설계와 조사방법 제4장 북한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실태 분석 1. 에너지소비량 추정 방법 개요 2. 응답표본 구성 3. 에너지 이용행태 특성 4. 에너지소비원단위 추정 5. 모집단 추정 6. 에너지소비량 추정 결과 7. 북한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실태 평가 제5장 상업공공 부문 에너지 소비실태 분석 1. 에너지소비량 추정 방법 개요 2. 응답표본구성 3. 에너지소비원단위 추정: 상점 부문 4. 에너지소비원단위 추정: 비 상점 부문 5. 모집단 추정 6. 에너지소비량 추정 결과 제6장 인도적 대북 에너지 지원방안 1. 대북 인도적 지원과 대북 에너지지원 실적 2. 대북 인도적 에너지 지원방안 구상 제7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