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0Study on investment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mineral resources in N. Korea

북한 광물자원 개발・가공 분야의 투자 잠재력 연구

연구책임자
정우진
연구참여자
정웅태, 박지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vi 12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20
서지주기
참고문헌(p.125-12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341대출가능-
자료실P42334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3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3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남한이 북한에서 광물자원 투자협력을 추진하는 데는 많은 장벽이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전력문제 등 열악한 인프라가 남북 자원협력을 실행시키는 데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광물자원 프로젝트는 초기에 거액의 투자비가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북한 광산개발 투자는 우선 리스크를 탐색하는 소규모 투자부터 추진하면서 단계적으로 투자규모를 확대해 가는 점진적 진출 방안이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북한의 전력 및 인프라 장벽은 이러한 점진적 투자확대 전략을 채택하기 어려울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아무리 소규모 광산개발이라 해도 북한에서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받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프라 제약 때문에 북한과의 광물자원 협력은 초기부터 대규모 투자로 시작되어야 전력문제를 풀 수 있는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광산개발뿐만 아니라 전력설비나 수송인프라에 이르기까지 거액의 투자비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북한 당국이 정치적·제도적 투자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남북 간 광물자원 투자협력은 추진하기 어려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선 남북 당국 간에 투자안정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여러 조치와 협약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기존 북한측의 정치·제도적 관행을 깨는 법이나 제도까지 요구될 수 있어 매우 험난한 협상과정이 예고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현시점에서 대북 광산개발 투자를 위해서는 개성공단과 같은 특별법, 혹은 특구법과 같은 북한 지도부의 결단이 필요한 제도가 마련되지 않는 한 남한 기업의 투자가 사실상 실행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납과 북이 공동으로 북한에서 광산개발을 추진하려면 개성공단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기업경영 모델이 필요하다. 이는 남과 북이 서로의 체제를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 원활한 경영이 추진되도록 양측의 합의 하에 만들어야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남과 북의 광물자원 개발 협력에는 지금까지 예상하기 어려웠던 여러 문제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 모든 사항을 본 연구에서 모두 담기는 어려운 과제이므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북한과 타협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동시에 우리의 제안을 북한 측이 수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유인 방법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북한의 광물자원 수급 및 정책 현황 제1절 북한의 광물자원 수급 현황 1. 북한의 광물자원 부존 및 광산현황 2. 생산 및 수출현황 제2절 북한의 광업정책과 투자환경 1. 북한의 광업정책 2. 광업관리 및 정책체계 제3장 외국 기업 투자 및 남북협력 현황과 효과 제1절 중국의 대북 광물자원 개발 투자 현황 1. 개 황 2. 두만강 유역의 북중 경제협력 확대와 자원개발 영향 제2절 중국 이외 국가들의 북한 광산 투자동향 1. 유럽 및 아시아 국가 2. 러시아 제3절 남북 광물자원 협력 현황과 기대 효과 1. 남북한 광물자원 교역 동향 2. 대북 광산개발투자 3. 남북광물자원 협력효과 제4장 대북 광물자원 투자의 경제성 분석 제1절 대북 광산개발 및 가공설비 투자비용 분석 1. 북한 광산개발 투자비·운영비 추정 2. 투자비 및 운영비 추정 3. 가공산업 투자비용 추정 제2절 대북 광물자원·가공산업 투자의 인프라비용 분석 1. 광물자원 산업의 인프라 비용 특징 2. 전력 수요 및 비용 3. 철도수송 투자비 추정 제3절 대북 광물자원・가공산업 투자의 경제성 분석 1. 전제사항 2. 광종별 사업내역 3. 경제성 분석결과 4. 경제성 분석의 시사점 제4절 전력개보수를 통한 북한 광산개발 사업성 분석 1. 북한 전력인프라의 문제점 2. 광산개발 지역과 전력공급 환경 3. 전력설비 개보수 방안과 사업성 분석 4. 전력문제와 대북 광산개발의 시사점 제5장 북한의 광업부문 투자환경과 안정화 방안 제1절 지하자원 투자 관련 북한법 현황과 문제점 1. 북한의 지하자원 투자관련 법・제도 2. 광산투자 시 현 북한법 적용의 문제점 제2절 대북 투자환경 안정화를 위한 법・제도 추진방안 1. 신규 법 제정 방안 2. 남북 합의서 제정 제3절 북한 광산 운영의 불안요소와 안정화 방안 1. 광산 투자 및 운영의 불안 요소 2. 북한 투자광산 운영 안정화 방안 3. 남북 공동 경영의 안정화 방안 제6장 결 론 참 고 문 헌
미리보기

북한 광물자원 개발・가공 분야의 투자 잠재력 연구.pdfPDF

첨부
번호제목유형
1북한 광물자원 개발・가공 분야의 투자 잠재력 연구.pdfPDF1.2 MB
  • 1북한 광물자원 개발・가공 분야의 투자 잠재력 연구.pdfPDF1.2 MB
주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