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86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86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86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8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중남미 지역은 2012년 말 전 세계 석유 매장량의 20.4% (=339.8Tmb), 천연가스 매장량의 4.3%(=8Tcm)를 보유하고 있으나, 석유의 경우 전 세계의 12.7%, 천연가스의 경우 전 세계의 3.2%만이 생산되고 있어, 석유 및 가스의 잠재력이 풍부한 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중남미 지역이 에너지․자원 시장에 있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풍부한 광물자원에 있다. 중남미 지역은 금, 은, 구리, 보크사이트 등의 일반광물에서부터 리튬이나 니오븀 같은 희유금속까지 다양한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2012년 말 96.4%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경제발전과 함께 급격히 증가해 온 에너지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응책으로 해외에너지 자원개발에 박차를 가해왔다.
에너지․자원 잠재력이 풍부한 중남미 지역은 지리적 한계 및 정치․사회․경제적인 위험으로 인해 한국의 진출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그래서 향후 에너지․자원 시장으로서 중남미 지역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인 연구와 함께 에너지 현황 및 잠재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 중남미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의 3차년도 연구로서 도미니카, 자메이카, 가이아나, 수리남 등 4개국을 분석대상국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중남미 지역에서 2000년 중반 이후에 발생한 국유화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국가의 정치․경제․사회적인 부분에 대한 조사와 각국의 에너지 현황, 전망 및 투자환경 등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국가에 진출한 기업들의 진출 사례를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진출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 중남미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의 1차년도에는 멕시코, 브라질,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등 6개국에 대해, 2차년도에는 칠레, 쿠바, 파나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등 5개국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 언
제2장 중남미 지역의 국유화
1. 내생적 경제성장 모델과 국유화
2. 중남미 3국 사례
가. 볼리비아
나. 베네수엘라
다. 아르헨티나
3. 국유화의 결과 및 전망
제3장 중남미 지역의 일반현황 및 에너지 현황
1. 일반현황
가. 가이아나
나. 도미니카공화국
다. 수리남
라. 자메이카
2. 에너지·자원 현황 및 전망(석유·가스·석탄·광물)
가. 가이아나
나. 도미니카공화국
다. 수리남
라. 자메이카
제4장 중남미 지역의 투자환경 분석
1. 에너지정책 및 법규
가. 가이아나
나. 도미니카공화국
다. 수리남
라. 자메이카
2. 진입장벽 및 투자 유발 요인
가. 가이아나
나. 도미니카공화국
다. 수리남
라. 자메이카
제5장 중남미 지역 에너지·자원 시장 진출 기업 분석
1. 가이아나
가. Guyana Goldfields Inc.
나. First Bauxite Corp.
2. 도미니카공화국
가. Xstrata
나. Barrick Gold Corp.
3. 수리남
가. Alcoa
나. BHP Billiton
4. 자메이카
가. Jamalco
나. Nippon Light Metal Company
제6장 시사점 및 결론
1. 연구대상 국가 진출 시 시사점
2. 중남미 지역 진출 시 고려사항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