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34

에너지기술 수출산업화 전략 연구: 그린에너지산업 육성전략 연구- 국제개발협력사업을 통한 개도국 진출전략

연구책임자
이승문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193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34
서지주기
참고문헌(p.143-15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869대출가능-
자료실P42287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86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87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세계 주요국은 그린에너지 산업을 발전시켜 소득 증진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투자와 기술개발을 하는 등 그린에너지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나라는 그린에너지 산업의 협소한 국내시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출산업화 전략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보고서는 그린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추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국외 진출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보고서는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개도국 진출 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본 보고서는 현재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주요 이슈와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고, 인터뷰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사업에 참여해 온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애로사항을 조사·분석한 후, 개도국 농촌 지역에 초점을 맞춘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개도국 진출 방안을 모색하였다. 개도국들의 가장 큰 목표는 절대다수 국민이 겪는 빈곤을 퇴치하여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것이다. Post-2015의 주요 의제인 지속가능한 개발목표의 궁극적 목적 역시 개도국의 빈곤을 퇴치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개도국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개도국의 빈곤 퇴치를 위해서는 에너지 빈곤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개도국 에너지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보고서는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가 개도국에 진출할 때, 개도국의 빈곤을 퇴치하고 경제적,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는 개도국 진출 전략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국제개발협력을 통해서 우리나라는 개도국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더 넓은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리나라 기술 및 인력의 개도국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보고서의 연구 방향은 개도국의 빈곤 퇴치와 신재생에너지 개도국 진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연구하는 것이다. 개도국 빈곤 지역은 대부분 농촌 지역이며 많은 인구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개도국의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프로젝트 형식의 접근보다는 하나의 마을이 자급자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원해야 한다. 하지만 개도국의 농촌 마을에는 전력 그리드의 연결이 쉽지 않으므로 off-grid 시스템이 적합할 수 있으며, off-grid에 가장 적합한 에너지원은 신재생에너지이다. 그러므로 기업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독립적으로 진출하는 것보다는 빈곤 퇴치 프로그램 등의 경제활동 활성화 동력원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 개도국 진출에 적합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문헌조사 1. 선행연구 가. 선행과제 나. 신재생에너지 개도국 진출 다. 국제개발협력 제3장 개도국 그린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에너지 빈곤 가. 에너지 빈곤 현황 및 전망 나. 그린에너지의 역할 2. 개도국 그린에너지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개도국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제4장 그린에너지 국제개발협력사업 1. 국제개발협력사업 가. 국제개발협력 2. 그린에너지 국제개발협력사업의 국외사례 가. 국제기구의 신재생에너지개발 지원 나. 국가간 국제협력을 통한 신재생에너지개발 지원현황 3. 국내 그린에너지 국제개발협력사업 가. 국내 ODA 에너지 부문 지원 현황 나.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문 국제개발사업 현황 제5장 ODA 진출 신재생에너지 기업 조사 1. 조사 목적 2. 사업현황 가. 사업목적 및 기대효과 3. 사업파트너와의 관계 4. 사업의 문제점 가. 사업의 문제점 나. 문제 해결 노력 5. 사업 후 활동 가. 종합적 편익 측면 나. 사업 사후관리 및 지속성 현황 6. 국제지원 사업에 대한 전반적 평가 7. 시사점 가. 성공요인 나. 실패요인 제6장 그린에너지 개도국 진출 방안 1. 그린에너지 개도국 진출 방안 가. 신재생에너지 개도국 진출 애로사항 나. 개도국 off-grid 시장 다. 농촌 전기보급사업(rural electrification) 라. 농촌개발협력사업 연계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개도국 진출 2. 그린에너지 개도국 진출을 위한 자금 조달 방안 가. 국제 개발재원의 활용 나. 국제 기후재원의 활용 다. 민간재원 활성화 라. 그린에너지 산업의 개발도상국 진출 시 자금 조달을 위한 제언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부록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