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1

태양광 산업 및 모듈가격 전망과 대내외 대응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정윤경
연구참여자
조상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81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3-21
서지주기
참고문헌(p.77-81)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843대출가능-
자료실P42284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84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84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지난 10년간 태양광은 화석연료 고갈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인식되면서 각국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태양광 시장에서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태양광 모듈가격의 하락으로 태양광 산업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따라서 국내 태양광 기업이 이러한 시장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재도약하는데 도움이 되는 산업 육성 정책과 국내 전력시장 여건을 고려한 향후 보급정책 방향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듈가격을 전망하고, 국내 외 태양광 시장 및 산업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태양광 산업 육성에 필요한 정책을 제언하 고자 한다. 또한, 국내 그리드패리티(Grid-Parity) 분석 및 비용편익 분석 등 태양광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보급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흥 수요처의 부상으로 현재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태양광 산업은 공급과잉으로 인하여 침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2014년 이후에는 수급 균형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태양광 시장의 미래는 밝다. 자금력이 풍부하고 원가경쟁력 또는 기술경쟁력 확보에 성공한 기업만이 이번 불황에서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내 제품의 기술경쟁력 향상을 높이기 위해 R&D 투자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높은 기술력 및 잠재력을 갖고 있으나 자본력이 부족한 국내 중소 중견기업이 현재의 일시적인 시장 불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시적인 금융지원을 제공해야 하겠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태양광 시장 및 산업 동향 1. 국내・외 태양광 시장 동향 가. 해외 태양광 시장 동향 나. 국내 태양광 시장 동향 2. 국내・외 태양광 산업 동향 가. 폴리실리콘 산업 동향 나. 잉곳/웨이퍼 산업 동향 다. 태양전지・모듈 산업 동향 라. 기타 시스템 부품 산업 동향 마. 정책 시사점 제3장 세계 태양광 모듈가격 전망 1. 태양광 모듈가격 과거 추세 2. 태양광 모듈가격 전망 제4장 국내 태양광 경제성 분석 1. 균등화발전비용(LCOE)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단가 산정 가. 균등화발전비용(LCOE) 나. 초기투자비용 추정 다. 국내 발전사업용 태양광 LCOE 산측 및 그리드패리티 분석 라. 태양광 LCOE 민감도 분석 2. 설비용량별 발전소별 태양광 발전단가 가. 국내 태양광 발전소 소개 나. 발전소별 LCOE 산정 3. 균등화발전비용(LCOE)의 문제점 4. 국내 태양광발전의 비용편익 분석 제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