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68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68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6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68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속된 고유가로 해양 석유·가스자원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최근 수년 동안 해양플랜트산업도 높은 성장세를 기록해 왔다. 국내 대형 조선사들도 해양플랜트산업을 상선 건조부문 불황 타개의 돌파구로 삼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선 대비 해양플랜트 건조 비중을 대폭 확대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조선 3사의 영업실적을 보면 유례없는 큰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배경으로 해양플랜트 사업들이 지목되고 있으며, 특히 설계부문의 엔지니어링 역량 부족이 주요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양플랜트산업은 우리 주력산업의 하나인 조선해양부문의 성패뿐 아니라, 자원개발부문과의 시너지 및 부품·기자재 산업 등 전후방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플랜트산업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본 후, 최근 국내 해양플랜트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한 문제점 및 제약요인을 검토하고, 기술 역량 제고를 비롯한 국내의 석유·가스자원 개발 해양플랜트산업의 육성방안을 모색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해양플랜트의 이해 및 시장 현황
1. 해양플랜트 개요 및 설치 현황
2. 해양플랜트 시장 규모와 전망
제3장 국내 조선 3사의 해양플랜트 부문 손실
1. 최근 조선 3사의 영업실적 추이
2. 조선 3사의 해양플랜트 부문 현황과 손실
제4장 해양플랜트 부문 손실의 배경과 기술 역량
1. 해양플랜트산업의 특성과 공급사슬
2.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제5장 해양플랜트산업 육성 정책
1. 중국의 추격과 일본의 재기
2. 우리나라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 정책
제6장 시사점 및 대책
1. 종합 및 시사점
2. 해양플랜트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