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6-04Coal Procurement Strategies using Optimization Model for the Purchase and Overseas Investment of Bituminous Coal
최적화 구매기법 및 자주개발 강화를 통한 유연탄의 공급안정성 확보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홍승혜
- 연구참여자
- 이원우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iv iii v 101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6-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7-101)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48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48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48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4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국제 석탄가격은 2004년 이후로 가격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발 셰일가스 혁명으로 인해 급격한 가격변화 뿐만 아니라 수출국과 수입국 간의 전통적인 구도에 변화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탄광 조업일수 축소에 따른 석탄생산 감소 및 중국의 석탄수입 증가로 석탄가격이 급등하였다. 이처럼 국제 유연탄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화 및 구조변화에 대처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유연탄 수입국임에도 불구, 수요의 대부분을 단순수입을 통해 조달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의 극심한 변동이 발생할 경우 수급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발전용 유연탄의 구매 및 관리에는 막대한 비용지출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연탄 수입에 있어 국제 유연탄 가격 변동 및 시장변화에 대한 대비를 통해 공급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조달비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장변화요인을 반영한 적시성 있는 유연탄 최적화 구매기법을 제시하는 한편, 자주 개발을 통한 유연탄 확보방안을 제안하여 수입유연탄의 수급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제 유연탄시장의 변화에 따른 수급 불안정에 대비한 대책을 포함하는 전략적인 유연탄 구매방식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민간 차원의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유연탄 수급전략을 수립하고, 정부 차원에서의 수급안정화 및 자원개발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우리나라 유연탄 수급 현황 및 전망
1. 국내 유연탄 수급추이 및 현황
2. 국내 유연탄 수요전망
제3장 세계 석탄시장의 동향 및 전망
1. 세계 석탄시장 추이 및 동향
2. 세계 석탄시장 전망
제4장 국내 발전용 유연탄의 유연탄 구매방식 및 해외 유연탄 개발 현황 분석
1. 국내 발전용 유연탄의 구매방식
2. 우리나라의 해외유연탄 개발 현황
제5장 유연탄의 공급안정성 확보방안 모색
1. 국내외 유연탄시장의 수급 현황 및 전망 변화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
2. 최적구매 모형을 활용한 유연탄 확보전략
3. 국내 발전사들의 유연탄의 구매방식 개선방안
4. 자주개발 강화를 통한 해외유연탄 확보방안
제6장 결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및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