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4-14Energy Techchnology Perspectives by TIMES Model: Focusing on new and renewable energy
TIMES 모형을 이용한 에너지 기술 전망: 신재생에너지 활용 부문을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 안지운
- 연구참여자
- 노동운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v 106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4-1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5-10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32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32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32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32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미래 사회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및 미활용에너지 등 새로운 에너지원의 활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에너지 믹스의 다변화가 지금보다 더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태양열, 풍력, 바이오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포함하고 있어, 이의 공급 비중이 증가할수록 에너지 시스템이 보다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신재생에너지 대규모 보급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그리드 등의 병행 도입은 이러한 기술 다변화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공급시스템에 있어서도 분산형전원 등 기존과 다른 형태의 시스템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향후 매우 다양한 에너지 기술의 활용이 예상되므로 에너지 기술 전망을 위해서는 보다 세분화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에너지와는 이용 양상이 다른 다양한 재생에너지원에 대한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며, 이러한 세부적인 에너지원들의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에너지 기술 활용 전망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에너지 기술 전망 모형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보다 강화한 개선된 모형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제 모형에서는 에너지 모듈 자체가 매우 단순한 형태로 구현되어 있어 세부적인 기술 분석은 어렵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현재 모형들 내에서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 고려되고 있거나, 아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현실상에서는 매우 다양한 원들이 존재하고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규모 에너지원들의 비중이 앞으로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술 중심의 모형 구축을 통해 미래 에너지기술을 전망하고 기술 변화에 의한 파급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완 및 최신 연구 결과를 모형의 데이터로 활용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태양광, 풍력, 바이오, 연료전지 등 주요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술 수준 향상 및 경제성 개선에 따른 에너지 시스템 변화 전망 등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에너지 기술의 선택 양상 변화 관측 및 그에 따른 비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대상
3. 연구 주요 내용 및 방법론
4. 보고서 체제
제2장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 현황
1.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일반 현황
2. 신재생에너지 원별 기술개발 현황
3. 국내 기술경쟁력 분석
제3장 분석 모형 개요
1. 모형 구축의 목적
2. TIMES 모형의 이론
3. TIMES 모형의 강점
4. 하향식 모형과의 비교
제4장 발전 부문 TIMES 분석
1. 기준에너지시스템(RES)
2. 국내 전력 수급계획
3. 모형입력 자료
4 모형 분석 결과
제5장 수송 부문 TIMES 분석
1. 기준에너지시스템(RES)
2. 모형 입력 자료
3. 모형 분석 결과
제6장 결론
1. 결과 분석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개선 방안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