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91-03

주요 非鐵金屬의 수급 및 가격 구조 분석 연구: 銅 鉛 亞鉛을 중심으로

주요 비철금속의 수급 및 가격 구조 분석 연구 : 동 연 아연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방기열
연구참여자
김정완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1
형태사항
153 p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91-03
서지주기
참고문헌(p.117-118)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03860대출가능-
자료실P40386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0386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038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6次 經濟開發 5個年計劃期間이 滿了되는 시기에 즈음하여 우리의 經濟는 質的 및 量的으로 그간 높은 成長率을 持續하여 왔다. 이는 '61年 第 1次 經濟開發 5個年計劃을 樹立한 이후, 지난 30餘年間 10培以上의 實質經濟成長을 보인 데서 잘 나타나 있다. 이와같은 國民經濟의 發展과 더불어 여러 分野의 基礎 素材資源의 需要도 많이 늘어나는 면을 보였는 데, 특히 銅, 鉛, 亞鉛等, 基礎産業素材로서의 金屬資源需要도 繼續的인 增加推移를 보여 주고 있다. 즉, 과거 '73年부터 '89年까지 국내 非鐵金屬産業은 年平均 33.8%의 높은 伸張率을 記錄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銅, 鉛, 亞鉛等의 原鑛石需要도 同期間中 各各 年平均 19.1%, 5.5%, 16.8%의 增加率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鑛石에 대한 국내의 供給狀況은 國內賦存與件上 鑛量의 限界性과 品位低下等으로인한 經濟性의 低下로 '70年代 中盤以後 점차 減少되어 왔다. 이 結果 需要의 擴大分은 輸入鑛石에 依存하게되었고, 輸入部門이 점차 늘어나게 됨에 따라서 海外依存度는 더욱 深化되는 實情에 있다. 이는 최근 '86年부터 '89年間의 非鐵金屬産業生産이 年平均 13.4%씩 增加하여 온데 비하여 金屬鑛部門의 生産은 오히려 減少되고 있어, 地金과 鑛石生産의 供給差의 深化를 端的으로 말해 주고 있다. 더욱, 世界 非鐵金屬市場은 이들 鑛物資源의 偏在性과 附加價値向上을 위한 自國製鍊設備의 擴大等으로 거의 販賣者市場이며, 더욱 價格에 대한 供給의 彈力性이 낮은 金屬鑛物의 特性等으로 인하여 資源確保에 대한 不安感은 더욱 高潮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銅, 鉛, 亞鉛地金의 국내 販賣價格은 國際市場과 連繫되어 있어, 金屬의 種類 및 市況에 따라서 다르나, 대체로 國際時勢보다 높은 價格으로 去來되고 있어, 關聯需要産業의 국제 競爭力提高에 큰 障碍要因으로 登場하고 있다. 이에따라 본 硏究課題는 國內外 非鐵金屬需給 및 價格構造에 대한 綿密한 實態把握을 통하여 關聯 問題點導出과 더불어 그 解決에 대한 方案을 摸索하고자 하였다. 우선 國內 非鐵金屬産業의 役割과 特性에 따르는 領域을 再編成하고, 全體産業에 대해 非鐵金屬이 차지하는 占有度를 測定하여 그 重要性을 再吟味하고, 나아가 국내외 銅, 鉛, 亞鉛 原鑛石 및 地金에 대한 需給 및 價格構造를 微視的 接近方式으로 接近, 相互連繫分析을 試圖하였다. 아울러 세계 銅, 鉛, 亞鉛의 生産, 消費, 在庫, 交易等 諸般需給 및 構造分析을 통하여 鑛種別 供給物量의 變化量, 變化要因 및 類似패턴을 摸索하였으며, 世界 주요 商品去來所의 組織과 去來方法等을 考察함으로써 全般的인 業界의 活動狀況에 대한 理解의 폭을 넓히도록 努力하였다. 한편, 鑛種別 價格變動推移分析을 통하여 價格變動時機와 價格變動에 影響을 미치는 각 要素들을 導出하였으며, 아울러 국내외 非鐵金屬價格을 對比, 價格差의 發生에 대한 原因을 糾明하였다. 따라서 本 報告書는 국내 非鐵金屬 原鑛石과 地金에 대한 需給實態把握 및 問題點을 導出하고 이를 根據로 하여 그 解決方法을 提示하고자하였다.
목차
第 1 章 序 論 第 2 章 國內 非鐵金屬 産業의 特性과 産業比重 第 1 節 非鐵金屬産業의 領域과 特性 1. 領 域 2. 役割 및 特性 第 2 節 국내 非鐵金屬의 産業比重 1. 關聯産業의 生産現況 2. 部門別 産業上 構成比實態 3. 非鐵金屬의 輸出入上의 比重 第 3 章 世界의 主要 非鐵金屬 需給 및 市場構造 第 1 節 槪況 第 2 節 주요 非鐵金屬의 需給實態 1. 銅의 需給構造 2. 鉛의 需給構造 3. 亞鉛의 需給構造 第 3 節 世界의 主要 非鐵金屬市場 1. 商品去來所의 組織 2. 商品 去來 方法 3. 淸算制度 4. LME의 去來動向 第 4 章 國內 主要 非鐵金屬 鑛石需給 現況 및 展望 第 1 節 國內 銅鑛石 需給現況 1. 國內 銅鑛石 需要 2. 國內 銅鑛石 供給 第 2 節 國內 鉛鑛石 需給現況 1. 國內 鉛鑛石 需要 2. 國內 鉛鑛石 供給 第 3 節 國內 亞鉛鑛石 需給現況 1. 國內 亞鉛鑛石 需要 2. 國內 亞鉛鑛石 供給 第 4 節 鑛種別 原鑛石 需給展望 1. 銅鑛石 需給展望 2. 鉛鑛石 需給展望 3. 亞鉛鑛石 需給展望 第 5 章 國內 主要 非鐵金屬 地金需給現況 第 1 節 國內 非鐵金屬 製鍊歷史 第 2 節 國內 銅地金 需給 1. 銅製品의 種類 2. 國內 銅地金 需要 3. 國內 銅地金 供給 第 3 節 鉛地金 需給 1. 鉛製品의 種類 2. 鉛地金 需要 3. 鉛地金 供給 第 4 節 亞鉛地金 需給 1. 亞鉛製品의 種類 2. 亞鉛地金 需要 3. 亞鉛地金 供給 第 6 章 國內外 非鐵金屬의 價格構造 第 1 節 非鐵金屬의 價格推移 1. 銅價格 變動推移 2. 鉛價格 變動推移 3. 亞鉛價格 變動推移 第 2 節 國內 非鐵金屬의 價格構造 1. 非鐵金屬關聯 物價指數推移 2. 現行 地金의 價格決定方式 3. 국내 非鐵金屬 生産原價構成 第 3 節 國內價格과 國際價格對比 1. 銅地金의 國內外 價格對比 2. 鉛地金의 國內外 價格對比 3. 亞鉛地金의 國內外 價格對比 第 7 章 國內外 非鐵金屬의 需給 및 價格構造上 問題點 第 1 節 需給構造上의 問題點 第 2 節 價格構造上의 問題點 第 8 章 結 言 參考文獻 附錄 : 世界의 銅, 鉛, 亞鉛의 年度別 需給實績資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