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N70007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188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18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N7000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18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18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 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지난 30년간 경제 성장과 더불어 높은 성장을 거듭하였다. 세계적 환경규제 및 국내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등 국내외적인 환경변화는 에너지 소비 및 수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여건의 변화에 맞추어 본 보고서는 에너지 수요 분석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선 과거 30년간의 에너지 소비 실적 분석으로서, 1970년의 에너지소비에서 출발하여, 최근 2000년 3/4분기까지의 에너지 소비의 변화 및 추세를 분석하였으며, 에너지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정책 및 대내외적인 여건을 분석하였다.
다음의 원별 부문별 에너지소비 실적 분석에서는, 각 에너지원을 중심으로 해당 에너지원의 소비 추세, 해당 산업의 특징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에너지 부문별 소비 행태 변화로, 산업부문에서의 에너지원간 대체 그리고 수송부문에서의 에너지원간 대체현상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에너지 수요전망 모형에 관하여, 에너지 수요전망 개요를 서두로 하여 국내외의 에너지 수요함수 추정 방법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고 주요 모형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계량방법론인 ADL 모형을 이용한 단기 에너지 수요 전망 모형을 설명하였으며, 단기모형에 의거한 2001년 에너지 수요전망 결과를 상술하였다.
2001년 에너지수요는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한 201.3백만TOE로 전망되며, 주요 수요 특징은 석유비중의 하락과 LNG 비중의 증가이다. 마지막으로 2001년 에너지부문 주요 정책 이슈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안정적 에너지 수급, 그리고 남북에너지협력을 포함한 국제적 에너지 협력에 관하여 이슈별로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에너지 소비실적 분석
제1절 1970년대 및 1980년대 에너지소비
제2절 1990년대 에너지소비
제3절 최근의 에너지 동향
제4절 국제간 에너지 소비 비교
제3장 원별 부문별 에너지소비 실적 분석
제1절 원별 특징 및 변화 : 90년대를 중심으로
1. 석유
2. 가스
3. 전력
4. 석탄 및 기타 에너지
5. 원자력
제2절 에너지 소비의 행태 변화
1. 산업부문
2. 수송부문 : 에너지원간대체
3. 비에너지유의 점유율 변화
제4장 에너지 수요전망 모형
제1절 수요전망 모형
1. 에너지 수요 전망 개요
2. 에너지 수요 문헌 연구
3. 시계열 모형
제2절 모형설정
1. 모형 구조
2. 모형의 설정
3. 국내 경제 동향·전망 및 입력전제
4. 석유
5. 도시가스
6. 전력
7. 석탄 및 기타에너지
8. 전환부문
9. 전망모형 및 방법론의 평가
제5장 2001년 에너지 수요 전망
제1절 2001년 수요 전망
1. 1차에너지 수요 전망
2.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제2절 2001년 에너지원별 수요 전망
1. 석유제품 수요 전망
2. 전력 수요 전망
3. LNG 및 도시가스 수요 전망
4. 석탄 및 기타에너지 수요 전망
제3절 수요동향의 특징 및 정책제안
1. 수요동향의 특징
2. 정책제안
제6장 2001년 에너지부문 주요 정책 이슈
제1절 경제 여건 전망
제2절 유가 및 세계 에너지 시장 전망
제3절 국내 에너지 정책과제
1. 에너지 산업 구조개편의 지속적 추진
2. 에너지 수급 안정화 과제
3. 대북 및 동북아를 포함한 국제협력사업
제4절 요약
제7장 요약 및 결언
<부록 1> 중단기 전망 요약
<부록 2> 제5차 장기전력수급계획(1999-2015)
<부록 3> 제5차 장기천연가스수급계획(1999∼2010)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