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8-09

에너지부문 전문인력의 효율적인 확보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辛常吉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8
형태사항
168 p
총서사항
KEEI 연구보고서 98-09
서지주기
참고문헌(p.133-134)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09922대출가능-
자료실P40992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099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099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IMF 금융위기의 결과로 현재 진행되고있는 기간산업과 중화학공업의 구조조정은 해방후 50년간 유지되어온 국가경제체제와 산업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강요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구조조정과 변화에 에너지 환경산업 역시 동참하여야 한다. 그러나 에너지산업은 국가기간산업인 특수성 때문에 단순한 구조조정이나 통폐합과 같은 방법으로 기업의 경영효율을 향상하고 고품질제품을 안전하게 생산공급할 수 없다. 본 연구는 기간산업의 특성을 고려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친환경적인 에너지산업 육성에 필요한 정책방안으로 에너지 환경관련 전문인력의 효율적인 확보방안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이에 상응하는 에너지원별, 학력들등급별 교육모형을 도출하였다. 에너지 환경 전문인력 교육모형은 향후 전개될 지식기반 산업체제와 산업구조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나타난 전문인력확보 구상 제1절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집행체제의 정비 제2절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중 에너지 전문인력 육성 제3절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중 에너지 부문 정보화 추진 제3장 국내외 에너지 시장 동향 제1절 해외 에너지 산업 여건변화와 전망 제2절 국내 에너지시장의 현황과 수요전망 제4장 에너지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설문조사 제1절 설문조사의 목적과 내용 제2절 에너지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제3절 에너지원별 전문인력 양성 설문결과 제5장 에너지전문인력 수요전망 제1절 수요 전망의 기본 (산출근거)과 에너지원별 특성 제2절 에너지 전문인력 전망방법과 산출근거 제3절 에너지 수요 및 CO2 배출전망 제4절 에너지 전문인력 종류와 분야 제5절 에너지원별 전문인력의 구성순위 제6절 설비투자 동기별 동향비교 제7절 에너지 전문인력의 중, 장기 수요전망 제6장 에너지 환경대학의 제1절 에너지 환경교육 현황과 미래위상 제2절 에너지환경대학의 헌장과 운영지침 제3절 에너지 환경대학의 계열편제 및 전문교육과정 모형 제4절 에너지 환경교육 단계별 발전계획 제5절 정규 교육과정 모형과 교과 세부내용 제6절 에너지 환경 단기과정모형과 교과내용 제7장 결론 및 향후대책과 추진방향 제1절 결론 제2절 향후 정책 대안과 추진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