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9-04
각국의 에너지 수급 및 정책연구: 중국 인도네시아 멕시코
- 연구책임자
- 최병렬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9
- 형태사항
- 159 p
- 총서사항
- KEEI 연구보고서 99-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57-159)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036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036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03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036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는 1차에너지 소비의 97%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지속성장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는 단기적으로는 국제 에너지시장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과의 자원외교를 강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급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중국, 인도네시아, 멕시코를 중심으로 에너지 수급 및 주요 정책을 살펴보았다.
중국과 우리나라는 인접국으로 중국 석탄을 수입하고, 우리의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향후 원전, 천연가스와 관련된 교역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인도네시아는 석탄, 원유, LNG를 우리나라에 수출하고 있다. 특히 LNG는 총수입량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멕시코는 국민총생산 수준이나 에너지산업에 대한 보수적 성향 등이 우리와 유사한 측면이 많아 정책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에너지 수급 및 정책
1. 경제 및 에너지 현황
1) 경제현황
2) 경제성장과 에너지
2. 1차에너지 수급 현황 및 중장기 전망
1) 1차 에너지 매장 및 수급 현황
2) 중장기 수급 전망
3. 중장기 에너지정책
1) 에너지 정책의 기본 방침
2) 에너지 산업 중장기 정책
4. 에너지 산업 규제완화 정책
1) 에너지 산업의 구조조정
2) 가격제도의 개선
3) 에너지 산업에 대한 외자유치 확대 정책
제3장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수급 및 정책
1. 경제현황
2. 1차에너지 수급 및 전망
3. 에너지산업의 현황 및 정책
1) 석유산업
2) 정유산업
3) 천연가스 산업
4) 석탄산업
5) 전력산업
6) 신재생 에너지
4. 인도네시아 에너지 일반정책(KUBE)
1) 에너지 정책의 근거
2) 에너지 개발의 목표와 전략
3) 인도네시아 에너지 일반정책
5. 에너지산업의 규제완화
1) 석유산업
2) 전력산업의 구조개편
6. 외환위기와 에너지 산업동향
1)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
2) 전력산업
제4장 멕시코의 에너지 수급 및 정책
1. 경제와 에너지
2. 1차에너지 수급 및 정책
1) 1차 에너지 수급
2) 중장기 에너지 생산 및 소비
3. 에너지 산업의 현황 및 정책
1) 에너지정책의 목표
2) 석유산업
3) 정제산업
4) 천연가스 산업
5) 석탄산업
6) 전력산업
7) 기타 에너지원
4. 멕시코의 국가 에너지정책
1) 에너지 프로그램 95-2000의 목적
2) 에너지 정책 이행의 주요 전략
5. 에너지산업의 규제완화 현황
1) 규제완화의 배경 및 법·제도적 근거
2) 천연가스 산업의 규제완화
3) 전력산업의 규제완화
4) 에너지 규제위원회(CRE)의 운영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2-1> 중국 석유산업의 조직도
<부록 2-2> 중화인민공화국 해양석유자원 대외합작 개발조례
<부록 2-3> 중화인민공화국 육상석유자원의 대외합작 개발조례
<부록 3-1> 인도네시아 에너지 정책 관련 조직
<부록 3-2> 인도네시아 생산분배계약 조항의 변천
<부록 4-1> 멕시코 에너지 정책 관련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