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보고서 98-5

아·태지역 에너지需給의 長期 安定性 分析 및 影響 評價

연구책임자
崔柄烈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8
형태사항
150 p
총서사항
KEEI 연구보고서 98-5
서지주기
참고문헌(p.149-15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09722대출가능-
자료실P417955대출가능-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P409721분실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097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79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P409721
    상태/반납예정일
    분실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은 향후 급증하는 역내의 에너지 소비로 에너지 공급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아시아에 풍부한 석탄자원은 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 감에 따라 소비가 제한될 것이고, 원유도 중국, 인도네시아의 원유생산도 둔화되고 있어 중동원유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경제성장을 뒷바침할 원유 및 천연가스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긴말한 국제적인 협력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90년대 이후 변화하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에너지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에너지 공급부문의 압박요인을 분석하였다. 역내 에너지경쟁을 완화하고 경제개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방안으로 러시아의 극동 지역을 집중개발, 이를 중동 산유지역과 함께 동북아의 에너지 공급기지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 곳은 미탐사지역으로 대규모 투자가 요청되고 있어,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주변 국가들과 사업의 수익성에 관심있는 국제기업을 포함하는 다자간 협력이 절실히 요청된다. 이에 동북아 자원개발을 실직적으로 추진할 구심체인 동북아에너지포럼(NAEF)을 구성/운영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동북아 긴장의 구심점에 있는 국가로 이러한 역내 조직체의 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함으로써 남북통일을 위한 초석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아·태지역 에너지 수급현황 및 장기전망 제1절 아·태지역의 주요 특색 제2절 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현황 제3절 아시아 1차 에너지 장기 전망 제3장 아시아지역의 에너지 안전성 제1절 동북아 에너지 안정성 제2절 아시아 장기 에너지 수급 제3절 아시아의 에너지 공급 제4절 아시아의 자체 에너지 개발사업 현황 제4장 주요국의 에너지 안정공급 방안 제1절 일본의 에너지 안정공급 방안 제2절 중국의 장기에너지 안정화 방안 제3절 미군의 공급 안정화 방안 제5장 장기 에너지 공급안정화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 제1절 국제협력의 기본 방향 제2절 에너지 공급의 장기 안장화 방안 제6장 우리나라의 장기 에너지 공급 안정화 방안 제1절 에너지 수급 현황 및 장기 에너지 계획 제2절 장기 에너지 공급 안정화 방안 제7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