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6-12A study on achieving the target of reducing GHG emissions in a power sector
발전부문의 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안재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vii ix vi 115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6-1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9-11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55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55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5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5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의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국가 배출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대비 37%로 결정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발전부문은 2013년 국가 총 온실가스 배출에서 약 36%를 차지하는 가장 큰 부문이자 감축잠재량이 산업부문보다 큰 부문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여타 부문에 비해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이 큰 발전부문이 감축 역할을 발휘하지 않으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현실적으로 산업부문의 감축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발전부문에 보다 높은 감축 목표가 설정될 전망이므로, 해당부문의 실질적인 감축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부문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감축수단을 조사하고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최적 감축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부문 적용 가능한 감축기술을 조사하며 현행 배출권거래제를 통한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감축가능성을 파악하고 해외 주요국의 정책수단과 감축기술을 조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발전부문의 감축수단을 반영하는 최적화 모형을 구축을 통해 최소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방안을 도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장 발전부문 현황 및 전망
1. 발전부문 현황
2. 발전부문 전망
제3장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 수단
1. 온실가스 감축 수단 개요
2. 기술적 감축 수단
3. 정책적 감축 수단
제4장 발전부문 온실가스 최적감축안 도출
1. 발전부문 온실가스 최적 감축 모형
2. 시나리오 구성
3. 모형 결과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