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6-31Study of policy response to changes in the natural gas development strategy of major countries(3/3)
천연가스 시장 메가트렌드의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연구: 주요국의 가스 개발 전략 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3차년도)
- 연구책임자
- 이승문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v vi v 181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6-31
- 대등표제
- Study of policy response to changes in the natural gas development strategy of major countries(3/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1-138)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60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61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6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6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셰일가스의 개발은 가스 수요 확대의 한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IEA를 비롯한 주요 기관의 세계 에너지 수요 전망에서 가스 수요는 화석에너지 중 가장 큰 수요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가스 소비는 세계 추세와 맞지 않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유가의 하락으로 도시가스의 소비 증가세는 크게 둔화되었으며, 기저발전량의 증가로 전환 부문 가스 소비는 크게 감소하고 있다. 가스 소비의 감소는 가스 관련 기업에게는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당분간 가까운 미래에도 가스 소비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비전통자원의 개발로 가스 산업이 한 단계 도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하지만, 비전통자원 개발이 세계 에너지 시장과 국내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국내 가스 관련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실증적 보고는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셰일가스 개발 등 비전통자원 개발이 국내 가스 산업에 긍정적 영향이 적게 미친 이유는 국내 가스 산업 생태계와 정책이 안정적 가스 수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비전통가스 개발에 따라 국내 가스 산업이 긍정적 영향을 얻기 위해서는 국내 시장 중심의 가스 산업을 해외 진출 중심의 가스 산업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본 3년차 연구는 비전통가스 개발에 따른 가스 시장의 변화와 주요국의 가스 개발 정책을 분석한 후, 국내 가스 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연구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문헌연구
1. 1, 2차년도 연구결과
2. 선행연구
제3장 국내·외 가스 소비 동향 및 전망
1. 국내 가스 소비 동향 및 전망
2. 국외 천연가스 소비 동향 및 전망
제4장 세계 LNG 플랜트 시장 동향 및 전망
1. LNG 액화 프로젝트
2. LNG 기화 플랜트
제5장 주요국 가스 개발 정책
1. 북미
2. 중남미
3. 유라시아
4. 아시아·태평양
5. 아프리카
제6장 해외 가스 개발 전략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
1. 전략적 진출 대상 선정
2. AIIB를 활용한 아시아 가스 인프라 시장 진출
3. 해외 직접 투자를 위한 투자 환경 정보 제공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