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96-04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요금조정방안
- 연구책임자
- 유병철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1996
- 형태사항
- vi 94 p
- 총서사항
- 연구보고서 96-04
- 주제명
- 전력수요 ARDL모형 수요관리형 요금제도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0815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0815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081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0815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생산과 동시에 소비되는 전력은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전력수요는 소득, 가격. 산업화 수준 및 기상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력수요함수 추정에 의한 가격탄력성을 구함에 있어서 개별 시계열 자료에 대한 분석이 선행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수요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비정산적인 시계열 자료를 공적분 회귀분석모형과 공적분 회귀분석 모형에서 초래되는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준공적분모형과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모형을 이용하여 장단기 전력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격탄력성을 고려할때, 가정용의 경우 단기탄력성은 -O.l8, 장기탄력성은 -0.38, 상업용은 장기탄력성의 경우 -O.2l이며. 산업용의 경우 단기탄력성은 -0.15이며 장기탄력성은 -0.28~-0.45로 추정된다.
또한 가격탄력성과 수요관리형 요금제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바람직한 부하관리형 요금제도의 확립을 위해 탄력적인 수요에 대한 수요관리가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전력수요의 특성과 가격탄력성
제 1 절 전력수요의 특성
제 2 절 장단기 가격탄력성
제 3 장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
제 1 절 전력수요의 추정
제 2 절 단위근과 공적분
1. 단위근
2. 단위근 검정
3. 가성회귀와 공적분
4. 공적분 검정
제 3 절 정준공적분 모형에 의한 장기탄력성 추정
제 4 절 ARDL모형에 의한 장단기탄력성 추정
제 5 절 가격탄력성 비교
제 4 장 가격탄력성과 수요관리형요금제도
제 1 절 전기요금의 기본성격
1. 전기산업의 특징
2. 전기요금의 특징
3. 합리적인 요금설정의 기본원칙
제 2 절 수요관리형 요금제도의 개념 및 현황
1. 기본요금 12개월 피크 연동제
2. 계절별 차등요금제
3. 여름철 휴가,보수기간 조정 요금제도
4. 시간대별 차등요금제
5. 심야전력(을) 요금제도
6. 심야전력(갑) 요금제도
7. 전력수급 조정 요금제도
8. 자율절전 요금제도
제 3 절 '95년 전기요금 구조 조정
제 4 절 부하관리형 요금제도 조정 방안
제 5 장 결 론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