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7-07

배출권거래 가격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화석연료가격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김수이
연구참여자
박호정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형태사항
xiii 182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7-07
서지주기
참고문헌(p.162-167)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7310대출가능-
자료실P41731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731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731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평가하고 사회적 편익 중 수도권지역에서의 분산형 전원 도입에 따른 혼잡비용 완화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우선,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기 앞서 분산형 전원의 개념을 국내 여건을 고려하여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산형 전원의 편익과 비용을 평가하기 위해 해외 선진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방법론과 정책을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의 전기요금제도 등을 위시하여 분산형 전원의 바람직한 보급을 저해하는 장애 요소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특히 수도권지역의 혼잡비용과 분산형 전원의 혼잡비용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전력시스템의 혼잡 상황을 고려하여 정부는 분산형 전원에 대한 정책수립에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분산형 전원을 평가할 때 혼잡완화 측면이라는 시각에서만 보는 것은 왜곡될 소지가 크기 때문에 에너지이용효율 개선, 환경개선, 에너지안보 강화 등의 제반 편익들을 고려하여 분산형 전원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분산형 전원의 개념  1. 분산형 전원의 개요   가. 분산형 전원의 정의에 대한 논란   나. 분산형 에너지자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   다. 분산형 자원(Distributed Resource)   라. 분산형 전원(Distributed Generation)   마. 국내 기준  2. 분산형 전원 기술 특징   가. 태양광 발전설비   나. 풍력 발전설비   다. 연료전지    1) 시스템 구성 및 종류    2) 연료전지의 장점   라. 소형 열병합발전   마. 마이크로 터빈   바. 바이오매스 Ⅲ.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 분석  1.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   가. 자원의 효율적 활용   나. 환경 영향 감소   다. 망비용 감소   라. 발전비용 감소   마. 투자위험 감소   바. 피크수요 절감   사. 신뢰도 및 전력품질 증가   아. 안보 편익   자. 수요조정유인에 의한 절감  2.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비용 평가   가. 설치비용   나. 옥내오염(Indoor Emission)   다. 소음야기(Noise Disturbance)   라. 연료확보  3.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비용 평가   가. 비용편익 평가방법론   나. 분산형 전원 평가 사례 Ⅳ. 분산형 전원의 송전혼잡에 대한 영향  1. 혼잡비용 개념  2. 송전혼잡비용 추정   가. 기준 시나리오 분석   나. 수도권지역의 설비예비율 분석   다. MPP(Most Probable Plan) 시나리오   라. 시장모의 결과  3. 계통기여도의 평가  4. 시사점 및 정책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분산형 전원의 설비 구입 및 유지  2) 전력 생산 및 절감  3) 전력회사 회피비용(Electric Utility Avoided Costs)  4) 사회적 테스트(Societal Test)  5) 참여자 테스트  6) 비참여자 테스트(Nonparticipant Test)  7) 총자원비용(Total Resource Cost) 테스트  8)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