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I연구보고서기본연구보고서 07-02
수도권지역의 혼잡비용을 고려한 분산형전원의 역할과 정책 방향
- 연구책임자
- 이근대 저
- 발행사항
- 경기도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 형태사항
- viii 106 p
- 총서사항
- 기본연구보고서 07-02
- 키워드
- 분산형 전원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730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730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73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730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전력산업은 최근 구역전기사업제도의 활성화방안과 소형열병합발전의 보급활성화 정책에 따라 분산형 전원의 보급이 활성화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소형 발전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분산형 에너지 패러다임의 도입을 주창하는 시민단체 등의 활동에 힘입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반면 기존의 중앙집중 에너지 패러다임의 주창자들을 위시한 대형 발전기술의 옹호자들은 분산형 전원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분산형 전원이 선진 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급 활성화를 추구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국내 여건상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은 미미하기 때문에 보급 활성화가 타당하지 않은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분산형 전원과 관련한 에너지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분산형 전원의 편익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분산형 전원에 대한 사회적 논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전력수요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수도권지역의 경우, 분산형 전원의 편익 중 수요지입지에 따른 혼잡완화 효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도권지역에서의 분산형 전원에 대한 정책방향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을 평가하고, 특히 지역적 입지에 의한 효과를 고려하여, 수도권지역의 혼잡비용과 이에 대한 분산형 전원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분산형 전원 보급에 대한 정책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분산형 전원의 개념
1. 분산형 전원의 개요
2. 분산형 전원 기술 특징
Ⅲ.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 분석
1.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
2.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비용 평가
3. 분산형 전원의 사회적 편익비용 평가
Ⅳ. 분산형 전원의 송전혼잡에 대한 영향
1. 혼잡비용 개념
2. 송전혼잡비용 추정
3. 계통기여도의 평가
4. 시사점 및 정책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분산형 전원의 설비 구입 및 유지
2) 전력 생산 및 절감
3) 전력회사 회피비용(Electric Utility Avoided Costs)
4) 사회적 테스트(Societal Test)
5) 참여자 테스트
6) 비참여자 테스트(Nonparticipant Test)
7) 총자원비용(Total Resource Cost) 테스트
8)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