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6-33A strategic study on energy demand management system with ICT convergence(2/3)
ICT 융복합 기술과 연계한 에너지 수요관리 추진 전략 연구: (2차년도)
- 연구참여자
- 김윤경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iv iv iv 137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6-3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9-128)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61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61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61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61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에너지수요관리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발전과 더불어 진화하고 있다. 전통적 에너지수요관리가 개별 기기 단위의 효율 향상 및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에 기초하였다면, 작금의 에너지수요관리는 ICT와 결합한 에너지시스템의 통합적 효율 개선까지 포괄한다.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스마트 플러그 분야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에너지수요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ICT 발전은 에너지 사용 현황을 계측하고, 시각화해서 보여주며,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ICT 발전은 에너지 소비과정에서 수요반응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시스템은 ICT를 기반으로 공급과 수요를 연계한 통합적 지능형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추세이다.
전술한 추세 변화에 발맞추어 ICT와 에너지수요관리 부문을 창조적으로 융합하여 새로운 시장의 형성 및 新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수요관리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새로운 에너지수요관리 전략은 기존의 에너지효율 정책에 더하여 ICT를 활용한 에너지시스템 최적화, 수요자원 발굴을 통한 수요자원시장 활성화, 에너지수요관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방면의 전략을 포괄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시장여건 변화, ICT 기반 에너지 소비 및 제어 기술의 발전 및 융·복합 추세에 부응하여 이를 활용한 에너지수요관리 추진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총 3개년으로 기획된 본 과제의 주요 연구주제는 1차년도에는 ICT와 연계한 부문별 에너지수요관리 혁신방안, 2차년도에는 ICT 기반 에너지수요관리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 3차년도에는 ICT 융복합 기술 기반 에너지수요관리 신시장 창출 방안이다. 본 보고서는 2차년도 연구 결과를 담고 있으며, ICT 기반 에너지수요관리의 기술, 데이터 및 법·제도 인프라에 초점을 맞춘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ICT 융복합 기술의 발전과 에너지관리
1. ICT의 진화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2. 사물인터넷(IoT)의 시장 및 기술 동향
제3장 ICT 기반 에너지 빅데이터 인프라 현황
1. 에너지 빅데이터 정의 및 활용가능성
2. 에너지 빅데이터 인프라 현황
제4장 ICT 기반 에너지수요관리 법·제도 인프라 구축전략
1. 기술개발, 보급, 확산을 위한 기술∙제도 정책 추진방향
2. 빅데이터 기반 수요관리의 법·제도적 인프라 구축방향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분야별 치근 IoT 제품 및 적용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