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703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703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70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70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세계 에너지 소비 추이
○ 세계 1차에너지 소비 증가량의 74%는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수요 증대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이중 중국과 인도가 세계 에너지 소비 증가의 45%를 차지할 전망
-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분의 반 이상은 발전부문의 수요 증가로 설명되며, 자동차 연료 소비 증가분이 20%를 차지할 것임.
○ 기본 시나리오(Reference Scenario)에 따르면, 세계 1차에너지 소비량은 연평균 1.8% 증가하여 ‘05~30년 기간 동안 5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에너지수요는 2030년 177억 TOE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총 증가분의 84%가 화석연료 공급으로 충당될 것임.
- 에너지원 중 석유 수요가 2030년 11,600만 b/d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세계 에너지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에서 32%로 감소될 전망임.
- 이와 반대로 석탄 수요 비중은 중국과 인도의 수요 증가에 의해 25%에서 28%로 증가하고, 천연가스 역시 21%에서 22%로 다소 증가할 것임.
- 또한, 전력 소비가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점유하는 비중도 17%에서 2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대체 정책 시나리오(Alternative Policy Scenario)를 적용할 경우 세계 1차에너지 소비량은 기본 시나리오의 전망치보다 0.5%p 낮은 연평균 1.3%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됨.
-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세계 1차에너지 수요는 기본 시나리오보다 11%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체 정책 시나리오에서는 에너지 효율적 기기의 보급이 확대될 것을 가정함으로써, 기본 시나리오와의 전망치 차이가 커진 것임.
○ 또한, 고성장 시나리오는 중국 및 인도의 고속 성장이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을 초래하지만 이들 국가들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가정하여, 2030년에 세계 1차에너지 소비가 6% 증가하는 것으로 기본 시나리오보다 더 큰 폭으로 예측함.
□ 중국과 인도의 에너지 소비 추이
○ 고속 성장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에너지 수요 증가는 전 세계 에너지 수급 상황 및 환경문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과거 수년 동안 중국과 인도의 눈부신 경제 성장은 에너지 수요 증대와 에너지 수입의 급증을 가져와 앞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세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임.
- 이처럼 중국과 인도로 인한 세계 에너지 수요의 급속한 성장은 OECD 국가와 나머지 국가들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임.
○ 양국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이들 국가들의 석탄 의존도는 꾸준히 증가하여, 양국의 석탄 이용률은 2005년 57%에 2030년 59%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남.
- 원유에 대한 수요 역시 빠르게 증가하여, 2005년 9.3mb/d에서 2030년 23.1mb/d로 연평균 3.7% 증가해 세계 원유 수요 증가의 42%를 차지할 전망임. 그러나 양국의 원유 생산이 2030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일 것으로 나타나, 중국의 순수입량은 2006년 3.5mb/d에서 2030년 13.1mb/d, 인도는 1.9mb/d에서 6mb/d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의 에너지 부문
○ 중국은 소규모 자급자족적 에너지 소비국가에서 세계 2위의 에너지 소비국가로 빠르게 성장하였음.
- 2002~2005년까지 중국의 에너지 수요 증가는 현재 일본의 에너지 소비량과 맞먹는 수준이며, 이와 같은 에너지 수요 증가는 국내 수요 및 수출 수요 증가에 따른 제조업 부문의 생산량 증가와 국내 건설업의 호황에 따른 것임.
○ 중국의 에너지 수입량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확보에 대한 위기감을 유발시킬 정도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감소하였던 에너지원단위(energy intensity)는 2004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함.
- 또한, 2006년 원유 순수입량은 3.5 mb/d로 미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음.
- 중국은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OECD 회원국이 시행하고 있는 원유비축을 시행하고 있음. 과거 2년 동안 LNG 형태로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최초로 석탄도 수입하기 시작함.
○ 기본 시나리오에 따르면, 중국의 1차에너지 수요는 2005년 1,742 Mtoe에서 2030년 3,819 Mtoe로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함.
- 2010년 이후 중국은 미국을 추월하여 세계 1위 에너지 소비국이 될 전망이며, 에너지 수요는 중공업 부문의 성장으로 인해 연평균 6.6% 증가하며, 2005년에서 2030년까지의 전망 기간의 연평균은 3.2%로 예측됨.
- 또한, 2001년 이후 기계장비, 직물 및 화학제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에너지소비량이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에너지수요의 25%를 차지함.
- 그리고 매년 2조 m2 면적에 달하는 새로운 건물들이 건축되는 유례없는 건축업 호황으로 2030년까지 1인당 거주용 및 상업용 에너지 소비는 거의 40% 가량 증가할 전망이며, 소득 증가와 도시화로 가계 부문의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전자제품의 이용 증가로 더욱 에너지 소비량이 상승하고 있음.
- 그러나 경공업 부문으로의 경제체제 전환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으로 2015년 이후 산업부문의 에너지 수요 증가세는 둔화될 전망임.
○ 기본 시나리오는 중국의 원유 생산이 2010년대 초기에 3.9 mb/d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 추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중국의 원유 수입 의존도는 현재 50%에서 2030년에는 80%로 증가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2030년 원유 수입량은 EU국가들의 수입량과 같은 13.2mb/d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 천연가스 생산은 대륙 가스유전(onshore gas reserves) 발굴로 두 배 가량 증가하고, 2020년 118 bcm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30년에는 111bcm을 생산할 것으로 보임.
- 석탄생산은 2015년에 2,604 Mtoe에서 2030년 3,334 Mtoe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전망임. 2007년 초 중국은 이미 석탄 순수입국이 되어, 2030년 순수입량은 95 Mtce에 달해 중국 자체 석탄수요의 3%, 세계 석탄 교역의 7%를 차지할 전망
○ 대체 정책 시나리오에 따른 중국의 에너지 수요는 2005~2030년 동안 90% 가량 증가할 것임.
- 석탄 및 원유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데, 원유 수요 감소분의 2/3는 연비증가 및 대체 에너지 운송수단의 도입으로 인한 운송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됨. 또한, 2030년 원유 수입은 기본안 시나리오보다 3.4 mb/d 낮은 9.7 mb/d 일 것으로 전망함.
- 반대로 천연가스, 원자력 및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고성장 시나리오는 2030년 중국의 1차에너지 수요가 기본 시나리오보다 23% 가량 높을 것으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석탄수요 증대로 기본 시나리오와 높은 차이를 보인 것임.
- 원유 수요는 기본안 시나리오 전망치보다 30%가량 증가하고, 이러한 증가치의 2/3는 2030년 자동차 등록대수가 4억 1천만에 달하게 되는 운송부문에서 발생할 것임.
- 천연가스 수요 역시 전력 생산 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하여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 또한, 고성장 시나리오는 중국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더욱 증가하여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에 대한 위기감을 고조시킬 것으로 내다봄.
- 2030년 중국의 석탄 생산은 19% 증가하지만, 탄광 개발 및 운송수단은 중국의 석탄 수요 증가분을 충당할 만큼 빠르게 증가하지 못해 중국의 석탄 수입 의존도는 증가하고, 석유 수입 역시 기본 시나리오 전망치보다 31% 높은 17.2 mb/d에 달해 2030년 이전 중국은 세계 최대의 수입국이 될 것으로 예측함.
- 그리고 에너지 수입비용 역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인도의 에너지 부문
○ 인도의 에너지 부문은 대부분 국영기업 소유로, 최근에는 원유와 가스 부문에서 민간 기업의 참여를 확대시키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음.
- Coal India는 국내 석탄 생산의 84%를 차지하고 있으며, Oil and Natural Gas Corporation 및 Oil India는 원유 생산 부문, India Oil Corporation 은 정제, 수송 및 판매부문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대부분의 전력생산 설비 역시 국영기업 소유로, 민간에 의한 전력생산은 소수의 독립적 전력 생산자 등에 의해 이루어 졌음.
○ 인도의 에너지 가격은 정부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 LPG와 등유에 대한 정부 보조금은 국내 정유회사들에게 무거운 부담을 주고 있으며, 전력부문에 대한 보조금은 State Electricity Boards에 많은 금융적 손실을 유발시켰음.
- 정부 보조금으로 유지되는 천연가스 가격은 투자자들에게 투자요인을 제공하지 못해, 국내 천연가스 발굴 및 생산에 필요한 투자자금 유인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또한, 세계 원유 공급량의 3% 수준인 70% 가량을 수입할 정도로 에너지수입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임.
- LNG 수입은 2004년부터 시작되어 인도의 전체 천연가스 공급량의 17%를 차지하며, 전체 석탄 공급량 역시 12%를 수입량에 의존하고 있음.
○ 기본 시나리오는 연평균 6.3%의 GDP 성장률로 가정했을 때, 인도의 1차에너지 수요는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인도에서의 석탄은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원유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여 2030년까지 2.5배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산업부문의 에너지 수요는 2005~2015년까지 연평균 4.7% 증가하지만, 2015~2030년까지는 최종용도(end-use)부문의 에너지 효율성 증대로 3.7%로 둔화될 전망임.
- 그러나 철강산업의 에너지 수요는 2005~2030년까지 연평균 5.9% 증가할 것이며, 운송부문의 에너지 수요도 경제활동 및 소득 증가로 인해 자동차 등록대수의 급격한 증가가 이뤄져 향후 25년 동안 빠른 증가 추이를 보일 것이며, 2030년의 에너지 수요는 162 Mtoe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 기본 시나리오에 의한 에너지 공급을 살펴보면, 인도의 확정 매장량은 제한적임.
- 현재 원유생산의 80% 가량이 생산량 피크를 넘어선 유전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유부문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경우 꾸준히 성장해 2030년에는 정제능력이 8.1 mb/d에 달할 것으로 예측함. 그리고 최근의 가스유전 발견으로 향후 천연가스 생산량이 증대될 것으로 보여, 2020~2030년 사이에 최고점을 이룬 후 2030년에는 50 bcm으로 감소할 전망
- 석탄 생산은 2005년 262 Mtce에서 2030년 637 Mtce로 증가할 전망이나 석탄 수요는 이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2030년 886 Mtce에 이를것이며, 2030년 인도의 전체 석탄 수입량은 전 EU국가들의 수입량보다 10% 높을 것으로 예측함.
- 전체 전력 생산은 2005년 699 TWh에서 2030년 2,774 TWh로 증가하며 연평균 5.7%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함.
○ 대체 정책 시나리오는 2030년 원유 수입이 기본 시나리오보다 낮은 1.1mb/d로 예측하였으나, 원유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90%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그러나 석탄 수입량은 전력생산에 이용되는 보일러용 석탄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인해 97 Mtce로 전망
- 또한, 낮은 에너지 수요로 인해 전망 기간 동안 인도의 누적 수입량도 기본 시나리오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인도의 석탄 수입비용은 2006~2030년까지 기본 시나리오보다 730억 달러 낮은 수준이며, 원유 수입비용도 2,500억 달러이며, 천연가스 수입비용은 70억 달러 낮을 것으로 예측됨.
○ 고성장 시나리오에서 인도의 1차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4.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석탄 및 원유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원유 수요는 2030년 기본 시나리오의 1.8 mb/d보다 높은 8.3 mb/d를 기록할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증가세는 자동차 등록대수의 빠른 증가세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전망함.
- 그리고 기본 시나리오에서 2030년까지 인도의 모든 가정들이 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비율이 96%였다면, 고성장 시나리오는 모든 가정에서 전력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함.
□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 중국과 인도의 경제 성장은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를 이끌었으나, 세계 경제에 긍정적 영향 또한 미침.
- 중국, 인도의 경제 호황으로 나머지 국가들의 수출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양국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완제품과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됨.
- 그러나 중국과 인도로부터의 수입 급증은 OECD 국가와 일부 국가 산업에 위험 요소로 작용하였고 특히,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지닌 일부 국가들의 타격이 컸음.
○ 그리고 기본 시나리오로 보면, 중국과 인도의 경제의 급성장으로 상품수출국들의 이익이 클 것으로 예측함.
- 또한, 고성장 시나리오는 중동과 러시아 및 에너지 수출국들의 GDP가 기본 시나리오보다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 외 아시아지역 개도국들과 미국, EU, OECD 태평양 국가들의 GDP 성장률은 상품수입비용이 높아져 둔화될 것으로 예측함.
○ 이와 같이 중국과 인도의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세계 교역 패턴이 변화되고 있으며, 에너지 수요와 수입의 시스템이 변환되고 있음.
목차
Ⅰ. IEA 세계 에너지 전망
1. 개요
2. 세계 에너지 소비 추세 (Global Energy Trends)
3. 중국과 인도의 에너지 소비 추세(Energy Trends in China and India)
4. 세계 교역량 및 경제 (International Trade and the World Economy)
5. 세계 에너지 공급 안정성(The World's Energy Security)
6. 세계 환경문제 반향(Global Environmental Repercussions)
7. 에너지 정책 분류(Energy Policy Ramfications)
8. 중국의 정치, 경제, 인구 구조적 특징(Political, Economic and Demographic Context)
9. 중국 에너지 부문 (Overview of the Energy Sector)
10. 기본 시나리오에 의한 에너지 수요 분석 (Reference Scenario Demand Projections)
11. 기본 시나리오에 의한 에너지 공급분석 (Reference Scenario Supply Projection)
12. 대체 정책 시나리오 전망 (Alternative Policy Scenario Projection)
13. 고성장 시나리오 분석 (High Growth Scenario Projections)
14. 인도의 정치, 경제, 인구 구조적 특징 (Political, Economic and Demographic Context)
15. 인도의 에너지 부문 (Overview of the Energy Sector)
16. 기본 시나리오에 의한 에너지 수요 분석 (Reference Scenario Demand Projections)
17. 기본 시나리오에 의한 공급 분석 (Reference Scenario Supply Projections)
18. 대체 정책 시나리오 예측 (Alternative Policy Scenario Projections)
19. 고성장 시나리오 예측(High Growth Scenario Projections)
Ⅱ. EIA 세계 에너지 전망
1. 세계 에너지 및 경제 전망(World Energy and Economic Outlook)
2. 세계 에너지 소비 전망(Outlook for World Energy Consumption)
3. 세계 경제 전망 (World Economic Outlook)
4. OECD 경제(OECD Economies)
5. 비 OECD 회원국 (Non-OECD Economies)
6. 시나리오별 경제성장 (Alternative Macroeconomic Growth Cases)
7. 국제유가의 변화 시나리오 (Alternative World Oil Price Cases)
8. 에너지 원단위 추세 (Trends in Energy Intensity)
9. World GDP : Potential Impacts of High and Low Oil Prices
Ⅲ.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