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7318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73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731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73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들어 국내외 정책입안자와 환경 기구 및 단체, 에너지 분석 전문가들 사이에 수소경제에 대한 여러 가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 에너지 관련 전문가들은 수소경제의 실효성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표출하면서 수소경제의 도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수소경제 지지자들은 이를 수소경제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시련으로 여긴다.
이들은 수소경제가 가져올 잠재적 편익, 즉 진정한 의미의 청정에너지원 개발, 지역경제 활성화, 신(新)성장산업 육성 등에 주목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수급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가장 근본적인 해법이 수소경제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이를 적극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논란 속에 세계 주요국 들은 수소경제를 유효하고 유력한 대안 중의 하나로 간주하고 수소경제 기초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기반 조성 및 유지에 정부와 민간이 합심하여 예산지원과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 추세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수소경제로 체계적이고 비용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가지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측면에서 시스템적인 접근을 추구해야 한다는 명제를 설정하였다. 수소는 제조, 저장, 운송 등의 복잡한 단계를 거쳐 이용되므로 수소의 제조분야부터 이용분야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에 걸친 시스템적인 접근을 통하여 비용효과적인 수소경제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소의 분야별 기술특성 및 비용을 분석하고 수소의 제조로부터 이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단계를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 수소운송시스템의 최적화모형을 개발하고 최적 수소운송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 범위 및 방법론
3. 보고서 체제
Ⅱ. 수소경제에의 시스템적 접근
1.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
2. 수소경제 시스템 분석의 형태
3. 리스크 및 안전 분석 (Risk and Safety Analysis)
Ⅲ. 해외 주요국의 수소경제 이행체제 및 수소공급 인프라 구축 연구
1. 미국
2. EU
3. 캐나다
4. 아이슬란드
Ⅳ. 수소 공급의 단계별 비용분석론
1. 개요
2. 수소제조의 기술특성 및 비용
3. 수소운송의 기술특성 및 비용
Ⅴ. 목표 지향적 전략에 기초한 수소 수요량 및 공급량 산정
1. 분석 방법론 및 전제
2. 연료전지 보급량 및 수소 수요량
3. 수소제조원별 수소 공급량
Ⅵ. 단계별 목표설정 및 목표달성을 위한 최적 시스템 구축
1. 시군구별 수소 수요 비중 산정
2. 수소 수요?공급 시나리오
3. 수소 수요지의 선정
4. 수요지별 수소 수요량 산정
5. 수소 생산 설비 도입 계획
Ⅶ. 수소 운송 최적화 모형
1. 수소 운송 최적화
2. LINGO 프로그램
3. 입력 자료
4. 분석 결과
Ⅷ. 종합 결론 및 정책 건의
1. 주요 발견 사항
2. 정책 건의
3.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 고 문 헌
1. 국내 문헌
2. 외국 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