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5-19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지역에너지사업 발굴 및 협력방안(제2차년도): 갈등구조 해소방안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김진오
연구참여자
배정환, 전영서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형태사항
viii 209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5-1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P415874대출가능-
자료실P415875대출가능-
자료실P421844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P41587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58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84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현재 참여정부는 행정수도를 공주, 연기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추진 중에 있으며 공공기관의 경우 각 산업 클러스터별로 구분하여 전국적으로 이전계획을 세워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시기에 앞에서 제시된 여러 비선호에너지 설비도 에너지관련 공공기관 이전과 함께 묶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안정화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호시설과 비선호시설을 함께 묶어 끼워 팔기 형식이나 비선호시설에 대한 맞바꾸기 형식도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합리적인 보상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위험시설로 인한 정확한 과학적, 경제적 피해 규모를 먼저 산정하고 그 위험을 해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노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설입지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주민들의 희생이 존재함을 인정한다면 최대한 보상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있어야 한다. 특히 위험 설비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시설물관리 감독에 대한 신뢰성을 강화하고, 국내외 전문기관에 의한 감사를 철저히 이행하며, 위험발생시 시설폐쇄조치를 약속하며 그리고 전문병원의 설립과 무료진료 확대 등으로 대응해 나간다면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목차
제 1장 서 론 제 2장 지역균형발전과 지역에너지사업과의 관계 1. 개념정의 및 관계설정 2.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에너지정책 현안 과제  가.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나.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에너지정책과 현안 관제 제 3장 지역에너지 사업현황 조사 분석 및 미래 수요전망 1. 에너지 설비 보유현황 2. 에너지·환경 측면의 지역 개발격차 현황  가. 개발격차 지수  나. 실증 분석 3. 열 소비현황 4. 전력 소비현황 5. 미래 에너지 수요전망 6. 지역특성을 고려한 잠재량 조사 및 특화지역 선정 7.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에너지사업 발굴의 문제점 제 4장 갈등구조분석모형 및 실증분석 1. 비선호시설 유치결정이론 모형  가. 비선호시설 유치와 보상규모  나. 비교정태분석 2. 에너지관련 비선호시설 인터뷰 분석결과  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나. 에너지관련 비선호시설에 대한 인터뷰 결과  다. 에너지관련 비선호시설의 위험에 대한 보상 및 보완정책  라. 비선호시설이 지역에 미치는 효과 3. 비선호시설 유치찬성 결정모형 4. 비선호시설 유치 시 보상결정모형 5. 비선호시설 위험성 완화요인 결정모형 6. 비선호시설 갈등해소를 위한 정책제언 제 5장 지역에너지사업 탐색을 위한 대응전략 1. 지역균형발전과 지역에너지 보급을 위한 지역권장목표량 설정  가. 외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지역계획  나. 신·재생에너지 시장확대를 위한 정책  다. 중장기 지역에너지보급 전략 2. 비선호에너지 설비에 대한 전략 3. 선호에너지 설비에 대한 전략 제 6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  부록 A  부록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