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5-18

북한 에너지수급 모형화 연구(II)

연구책임자
김경술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형태사항
x 206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5-1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5872대출가능-
자료실P41587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58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587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가 2개 년도에 걸쳐 수행한 북한 에너지수급 모형화 연구는 극도로 폐쇄된 북한 사회 에너지부문의 구체적인 에너지 소비행태를 각 수요부문별로 상세히 파악하여 이를 과학적인 체계로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북한사회의 각 수요부문별, 용도별, 에너지원별, 시나리오별 중장기 에너지수요를 전망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이를 체계화하는 데 어느 정도의 성과를 생산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던 북한 에너지 소비행태를 광범위한 탈북자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 관련된 국내외 각종 정보자료들을 취합, 평가하여 모형에 반영함으로써 서방국가들이 활용하는 전문적인 수급분석 및 전망모형들에 거의 필적할 만한 수준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북한 에너지수급 모형화 과정은 북한 에너지 소비부문의 광범위하고도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내포하는 북한 에너지부문의 축소판과 같다. 그러므로 북한 에너지부문의 장래를 예측하는 일도 이 축소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찰에서부터 출발하여 수행되게 된다. 기존의 심각한 정보부족과 그로 인해 과학적 분석에 기초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던 각종 정책적 판단과 의사결정들이 이제 보다 정교하고 과학적인 분석의 틀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북한의 대단히 미시적인 생활상까지 파악해야하는 연구이므로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향후 보다 정확한 정보자료의 수집을 통해 북한 실상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는 모형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북한 에너지수급의 기초적인 정보자료 취득 및 분석 작업에 보다 많은 노력과 지원이 지속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2003년도 북한 에너지수급 및 중장기 경제전망 제1절 2003년도 북한 에너지수급 분석  1. 북한의 일차에너지 수급  2. 북한의 에너지 전환부문  3. 북한의 최종에너지 수급 제2절 북한의 중장기 경제성장 및 인구전망  1. 북한의 중장기 경제전망  2. 북한 미래 인구 추정 제3장 가정부문 에너지 수급전망 모형화 제1절 기준년도 수급 모형화  1. 난방  2. 취사  3. 가전  4. 조명  5. 원별/용도별 총계 제2절 전망기법 제3절 추정과정 및 결과  1. 주요 전제  2. 기준 성장안 전망  3. 시나리오별 에너지 수요 전망 제4장 북한의 산업부문 에너지수요 전망 제1절 기준년도 수급 모형화 제2절 전망기법 제3절 추정과정 및 결과  1. 북한 산업부문 업종별 중장기 생산액 전망  2. 업종별 에너지원단위  3. 업종별 중장기 에너지수요 전망 제5장 북한의 수송부문 에너지수요 전망 제1절 기준년도 수급 모형화 제2절 전망기법 제3절 추정과정 및 결과  1. 여객 수송 에너지수요 전망  2. 화물 수송 에너지수요 전망  3. 북한 수송부문 에너지수요 전망 종합 제6장 북한 서비스/공공부문 에너지수요 전망 제1절 기준년도 수급 모형화 제2절 전망기법 제3절 추정과정 및 결과 제7장 북한의 중장기 에너지수요 전망 제1절 북한의 일차에너지 수급 전망 제2절 북한의 에너지전환부문 전망 제3절 북한의 최종에너지 수요전망  1.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수요전망  2. 수요부문별 최종에너지 수요전망 제8장 KEEI-NK모형 프로그램 개발 및 패키지화 제9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  1. 중장기 북한 에너지수요전망 집계표  2. 중장기 북한의 경제 및 인구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