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6-10

수소경제 이행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책임자
배정환
연구참여자
조상민, 조경엽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형태사항
v 166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6-10
서지주기
참고문헌(p.102-107)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410대출가능-
자료실P416543대출가능-
자료실P416544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41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4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4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지난 2005년에 ‘수소경제 국가비전 및 실행계획 수립 연구’를 통해 수소에너지가 향후 2040년까지 어떤 경로로 보급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이 수립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종에너지 수요 대비 수소에너지의 비중을 2040년까지 15%로 늘리기 위해서는 총 207조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연관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나, 투입산출모형은 투입산출계수에 기초한 경제적 파급효과만 분석할 뿐 기회비용, 최적화 행위, 부문간 균형조건 등을 고려하지 못하여 파급효과를 과다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업연관분석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동태 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모형을 개발하여 2040년까지 수소에너지 보급에 따른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소기술의 차별적인 특성들을 모형에 자세히 반영하기 위해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이 프런티어 기술로서 갖는 특성들인 학습효과 (learning effect)와 에너지원간 상보성 (complementarity)을 고려하였고, ‘수소경제실현을 위한 수소수요량의 산정 및 공급방안‘(에너지경제연구원, 2006)에서 제시된 수소기술의 기준안상의 보급경로를 감안하였다. 또한 수소기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수송부문 및 발전부문을 부각시키고자 이들 부문을 모형 내 생산함수에서 분리하여 수소, 화석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원간 대체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수소부문을 신재생에너지 부문과 별도 부문으로 취급하여 분석하였고,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최종에너지 수요를 2040년까지 예측한 자료를 기준안으로 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한 모형을 통해 수소기술 보급에 따라 에너지 부문 및 비에너지부문의 산출, 소비, 투자, 수출입, GNP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하였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론 3. 세계 각국의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 투자현황 및 전망 제 2 장 프런티어 기술의 학습효과와 상보성(Complementarity)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청정에너지 기술 발전과 학습효과 2. 상보성과 학습효과가 존재하는 빈티지 모델 3. 재생에너지 이용 기술의 동태적 변화 제 3 장 동태 CGE 모형에 의한 파급효과 분석 1. 국내외 신재생에너지기술관련 CGE 모형 2. 동태 CGE 모형 구조 3. 데이터 및 캘리브레이션 4. 연산방법 및 시나리오 구성 5. 분석결과 제 4 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