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06-03
각국의 서머타임제 시행 동향과 에너지절약 효과
- 연구책임자
- 이성근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 형태사항
- iii 96 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06-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44-45)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N70039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651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652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N70039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651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652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서머타임 제도는 1, 2차 세계대전 및 오일쇼크 등 경제위기시 에너지절약 등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세계 86개국에서 시행하고 있음. 최근 고유가 등의 분위기에 대응하여 북미 국가들은 서머타임 기간을 더욱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서머타임 도입을 위한 법안 준비중.
서머타임 시행 초창기에는 전력소비 중 조명 등의 비중이 높아서 에너지절약효과가 상당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최근에는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의미를 두는 추세임. 에너지절약에 대해서는 직접적 효과뿐만 아니라 에너지절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부차적인 파급효과 기대
우리나라도 1948년부터 약 10년 동안 서머타임제가 실시된 적이 있으며, 서울올림픽을 전후한 1987년과 1988년에도 시행된 바 있음. 정부는 1997년 동 제도를 다시 도입하려고 했지만 여론이 좋지 않다는 이유, 특히 노동계에서 근무시간의 연장을 우려한 반대로 무산됨.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서머타임의 시행현황과 시행결과 분석사례 등을 조사하고, 서머타임을 시행할 경우 기대효과와 예상문제점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함.
목차
Ⅰ. 서언
Ⅱ. 서머타임제의 의의와 국내외 시행 사례
1. 서머타임제의 의의
2. 우리나라의 시행사례
3. 해외의 시행사례
Ⅲ. 우리나라의 시행 여건
1. 지리적인 여건
2. 에너지 여건
3. 사회·경제적 여건
Ⅳ. 서머타임 시행에 따른 에너지절감량 추정
1. 해외의 추정사례
2. 우리나라의 추정사례
Ⅴ. 기대효과 및 예상 문제점
1. 에너지절약차원의 기대효과
2. 비에너지분야의 기대효과
3. 예상되는 문제점
4. 결론 및 정책건의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