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7322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732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732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732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전세계적으로 유연탄 가격이 급격히 변동하는 상황에서 발전용과 산업용 유연탄을 전량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공급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2006년 한해 동안 연료탄으로 5,442만톤, 원료탄으로 1,647만톤 등 총 7,089만톤의 유연탄을 수입하였고, 금액으로 4조원 이상이다. 2007년 4월 기준으로 발전용 유연탄의 국제 시세는 평균 톤당 56달러로 지난해 평균 52.5달러에 비해 6.7% 상승했다. 이와 함께, 해상운임이 지난해에 비해 30% 정도 증가했다. 문제의 심각성은 국내 유연탄 수요가 당분간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전망에 있다.
해외로부터 유연탄을 조달할 경우 유연탄 가격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해상운임과 환율 등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위험요소의 변동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위험관리 기법을 활용한 조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로 수입되는 유연탄을 대상으로 석탄가격, 해상운임, 그리고 환율 등의 위험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위험관리할 수 있는 조달모형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모형이 기존 모형에 비해 조달비용의 절감과 안정화 측면에서 우월한지 여부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헤징이론 및 조달모형
1. 헤징이론
가. 헤징의 개념 및 형태
나. 헤지비율과 헤징효율성
다. 복수의 위험요소를 고려한 헤징
2. 복수의 위험요소를 고려한 조달모형
가. 조달모형 및 헤지비율 도출
나. 복합 헤지비율의 추정
제3장 변수간 단기적 인과성 분석
1. 표본자료
2. 변수간 단기적 인과성 분석
가. 예측오차분산분해와 충격반응분석
나. 추정모형에 따른 분석결과
제4장 실증분석 결과
1. 개요
2. 헤지비율
3. 헤징효과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부록> 가격예측력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