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06-05

에너지 국제협력 대응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김남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형태사항
ii 56 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06-0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398대출가능-
자료실P416518대출가능-
자료실P416524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39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2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고유가 상황의 지속, 세계 각국의 자원확보 경쟁의 심화 및 기후변화협상 등 국내외적인 에너지시장 여건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 양자간 및 다자간 에너지 국제협력에 대한 대응 강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또한 에너지 분야는 어느 한 국가의 힘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복잡한 이해관계, 지정학, 국제정세와 얽혀 있어, 세계 모든 국가 및 지역이 상호 의존적 상관관계를 갖는 범세계적 문제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 산자부 내에 자원협력위원회를 포함한 에너지 국제협력에 대한 담당기능이 에너지자원정책팀, 유전개발팀, 광물팀, 국제협력팀, 알제리-아제르바이잔팀 등으로 분산되어 있어 이를 통합해서 체계적으로 관리·대응할 필요성. 고유가 상황의 지속 등 에너지를 둘러싼 국제정세가 급변함에 따라 각국의 에너지정책 동향 및 전략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수집 기능이 강조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부서나 인력확보 요청됨. 중동, 남미, 아프리카, CIS 등 권역별 에너지전문가 양성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의 필요성.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정부의 양자 자원협력위원회 대응 1. 개황 2. 2006년 양자간 자원협력위원회 개최 사례 가. 제1차 한-아르헨 자원협력위원회 나. 제1차 한-멕시코 자원협력위원회 다. 제22차 한-호주 자원협력위원회 라. 제4차 한-베트남 자원협력위원회 마. 제22차 한-인니 자원협력위원회 제3장 다자간 국제 에너지관련 회의 대응 1. 북경 5자 에너지각료급 원탁회의 2. 세계에너지협의회(WEC) 제4장 에너지 국제협력 향후 대응 방향 별첨자료: Korean Report on WEC Energy Policy Scena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