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6-06
계량경제모형을 통한 발전부문의 연료대체에 관한 연구
- 연구책임자
- 김수일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 형태사항
- iii 51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06-0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48-49)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N70040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653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653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N70040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65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65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887년 최초의 전등불이 밝혀진 이래 한국의 전력 생산은 비약적인 증가를 경험하면서, 2004년 현재 약 6,461만kW의 발전설비 용량으로 367,581GWh의 전력을 생산하기에 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두 차례의 석유파동을 계기로 에너지원의 다원화를 추구하게 되면서 원자력 등의 새로운 발전 에너지원이 도입되고, 2001년 이후 한국전력공사 독점체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전부문이 경쟁체제로 전환되기도 했다.
한국의 발전연료는 현재 석탄, 석유, LNG, 수력 및 원자력으로 다원화되어 각 에너지원이 기저·중간·첨두부하의 영역의 발전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에너지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에너지시장의 환경 변화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또한, 발전부문의 특성상 장기적인 수요예측 하에서 대규모 설비시설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업부문의 기업처럼 이윤극대화 및 비용최소화에 따른 에너지 선택을 하는데 제약이 많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산업 및 제조업 부문의 연료대체를 분석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선형로짓비용비중함수 모델을 기초로 발전부문의 연료대체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산업부문의 연료대체와 관련해서는 국내·외의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었지만 발전부문의 연료대체는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산업부문의 연료선택 행위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발전부문의 특성과 발전 연료의 자료문제 때문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발전부문의 연료대체를 단순히 경제 요인만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시도 자체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 론
Ⅱ. 발전부문 연료비용의 추이와 특성
1. 발전산업의 특징 및 변천과정
2. 발전부문 발전량과 연료비용 추이
3.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Ⅲ. 발전우선순위 결정모형과 연료대체모형
1. WASP와 POWRSYM
2. 에너지대체 연구의 흐름
3. 로짓비용비중함수
Ⅳ. 이항선택모형을 이용한 로짓비용비중함수
1. 최소로짓카이제곱(Minimum Logit Chi-Square) 방법
2. 비용비중함수의 특성
3. 추정모형
4. 산업부문 연료소비 자료를 이용한 모델 검증
Ⅴ. 발전부문 연료소비에 대한 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부 록 : 발전부문 연료비용 및 연료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