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8-23A study on the electricity market reform for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power system

저탄소 전력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 연구(1/3)

연구책임자
안재균
연구참여자
김욱, 김태현, 신한솔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형태사항
ⅴ ⅲ ⅵ 134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8-23
서지주기
참고문헌(p.131-13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204대출가능-
자료실P42520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20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20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에너지 전환 정책의 실행계획인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비중은 20%를 차지하며 설비비중은 2017년 9.7%에서 33.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과 풍력의 발전은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띠므로 전력계통 운영의 원활화와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전력시장의 제도적 개선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용 효과적인 저탄소 전력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력시장제도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선진시장의 에너지 및 보조서비스 시장에서 에너지 가격과 예비력 가격을 어떻게 산정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둘째, 예비력 가격 및 실시간 시장 관련 이론적 분석을 수행한다. 셋째, 모의 계통 모형을 구축하여 현재 국내 전력시장운영 방식과 에너지 및 예비력 동시 최적화에 따른 가격, 발전비용, 정산금 을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론 및 모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전력시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제2장 전력시장제도 비교  1. 전력시장 개요  2. 미국 전력시장 제도  3. 국내 전력시장 제도 제3장 이론적 분석  1. 에너지·보조서비스 동시최적화  2. 실시간 시장 제4장 사례 연구  1. 모형 구축  2. 모형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1. 보조서비스 시장 도입  2. 실시간 시장 도입  3. 가격결정방식 개선 부 록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