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8-03A Study on Environmental Dispatch in the 8th Basic Plan on Electric Power Demand and Supply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환경급전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김남일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형태사항
iii iv iii 42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18-0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366대출가능-
자료실P42536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36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36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환경급전’의 내용을 정리하고, 8차 계획 상에서 제시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2030 온실가스 감축기본로드맵 수정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환부문의 목표치 달성을 위한 여러 가지 조건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제6장의 5 '경제급전과 환경급전의 조화'에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의 환경급전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석탄·LNG발전의 비용격차 축소' 부분에서 언급된 ① 환경비용 반영, ② 석탄·LNG 등 발전연료 세제조정, ③ 제도화되지 않은 환경비용이나 사회적 비용 등을 고려한 균등화 발전원가 산정 등은 가격기능을 통한 환경급전의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석탄발전의 물리적 제약' 부분에서 언급된 ① 노후석탄 가동 중지, ② 석탄발전 상한제약 등은 물량 제약을 통한 환경급전의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 8차 계획에 나타난 환경급전의 두 가지 수단 중에서 '석탄발전의 물리적 제약'은 특히 미세먼지가 심한 시기의 대응책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전의 연구과제에서 분석한 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대책으로서 환경급전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에너지계획과 환경급전  1.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환경급전  2. 2030 온실가스 감축기본로드맵 수정안 제3장 환경급전 달성 여부에 대한 모형분석  1.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목표의 달성 가능성  2. 2030 수정로드맵 전환부문 달성 가능성  3. 유가변동에 따른 전망 제4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