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7-01A Study on Improving Power Market Rules Subject to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환경급전을 고려한 전력시장 운영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김남일
- 연구참여자
- 신힘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vii ⅸ iv 52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7-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51-5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92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92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92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9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미세먼지 등 환경적 요소를 전력시장 운영에 어떻게 반영할 지에 대한 ‘발전부문 미세먼지 배출감소 대책의 전력시장 영향 분석‘ 이라는 제목의 수시과제에 이은 후속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지난 2017년 3월의 전기사업법 개정의 주요 내용이었던, 소위 ‘환경급전’ 전력의 급전순위 결정시 경제성 뿐만 아니라, 환경(온실가스, 미세먼지 등) 및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김남일(2016)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슈를 실제 전력시장 제도 속에 어떻게 녹여낼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지난 3월의 전기사업법 개정은 전력시장을 운영하는 실무자들에게 여러 가지 과제를 던져 주고 있는 상황에 있다. 우선 제2기에 돌입한 배출권 거래제도를 전력시장 운영의 관점에서 어떻게 수용할 지의 문제가 있다. 두 번째로 최근 전원별 LCOE의 추정 문제가 심도 있게 논의되고 있듯이, 여러 형태의 외부비용을 전력도매시장 가격형성에 어떤 방식으로, 또 어떤 수준으로 내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존재하고 있다. 세 번째로, 미세먼지 제약발전의 시행을 위한 법제도적으로 정리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본 연구는 ‘환경급전’ 이라는 시의성 있는 주제를 긴급히 정리하고 방향성을 제시해야 하는 수시과제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미세먼지 관련된 입법 현황 및 미세먼지 제약발전을 시행할 경우의 전력시장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시장 거래제도 개선방안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환경을 고려한 경제급전
1. 환경급전의 정의
2. 환경급전 관련 분석시 고려사항
3. 해외사례 : 일본 사례 중심
제3장 환경급전 시나리오 모형분석
1. 모형 시나리오 개요 : 자료 및 방법론
2. 시나리오 1: 서해안 총량제약 (2016년)
3. 시나리오 2: 발전단지별 제약 (2016년)
4. 시나리오 3: CO2와 미세먼지 동시제약 (16년 2월 16일)
5. 시나리오 4: 배출권 거래가격 변화
제4장 전력시장제도 개선 방안
1. 전력시장제도 개선방안 수립의 고려사항
2. 단기적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
제5장 결론
1. 환경규제 관련 입법 동향
2. 법개정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