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5-02

산업부문 에너지소비 변화요인 분석: 지수분석법과 계량경제분석 기법의 결합

연구책임자
정한경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형태사항
iv 85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5-0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5840대출가능-
자료실P41584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584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58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생 및 목적 우리나라는 제조업 부문의 급격한 성장과 구조변화에 따라 높은 산업에너지소비 증가를 경험하였다. 최종에너지소비에서 차지하는 제조업의 비중은 1970년도의 22%에서 1995년에 50%에 이르는 높은 증가를 보였다. 에너지소비의 급증은 에너지안보 문제의 심화와 더불어 에너지공급능력의 확충을 위한 재원 마련과 입지 문제, 그리고 환경문제의 악화와 같은 여러 다른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면서 90년대 들어 정부는 에너지 공급확충에 앞서 수요관리를 보다 강조하는 방향으로 에너지정책기조를 바꾸었으며, 높은 성장률과 산업에너지소비의 높은 비중을 감안하여 산업부문에서의 에너지절약을 에너지안보, 산업 경쟁력, 환경질의 개선을 위한 실천적 수단으로서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적절한 분석 방법을 통해 에너지절약의 실적 및 잠재량을 평가하는 것은 에너지절약정책이나 에너지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여러 접근법들 중의 하나로서 산업 전체의 에너지소비 변화, 혹은 산업 전체 에너지원단위의 변화를 구성 요소들로 분해하는 요인분해분석(decomposition analysis)을 들 수 있다. 산업부문 전체로서의 단위 (부가가치)생산당 에너지소비로 정의되는 총량 에너지원단위를 산업부문 에너지소비의 전반적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곧 잘 사용되지만 이 경우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업부문 에너지효율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총량 에너지원단위의 변화를 구조효과와 기술적(원단위)효과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분해하는 몇 가지 방법들을 제안하고 적용하는 선행연구들이 많이 있었다. 본 연구의 1차 목적이자 선행연구와의 뚜렷한 차별성은 총량 에너지원단위 변화에 대한 요인을 기존의 방식에 비해 보다 세분화하여 5개의 요소로 분해하는 새로운 분석틀을 고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요인분해분석법을 지난 30여 년간의 우리나라 제조업 에너지원단위 변화 실적에 적용하는 실증분석도 실행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세분화된 요인분해분석법과 총량적 계량분석모형을 결합하여 요인분해분석법의 유용성을 제고하고 단순 계량분석모형의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들을 결합하는 방안으로서 요인분해 결과로서 얻게 되는 요소별 디비지아 지수를 에너지가격과 생산 수준 등 에너지수요를 결정하는 총량 지표와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2. 연구 범위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제조업부문 에너지소비 분석 1. 경제성장과 산업구조 변화 2. 제조업부문 에너지소비 제3장 에너지원단위 변화의 요인분해 방법론 1. 에너지원단위 변화 요인 2. 요인분해를 위한 지수분석법의 비교 및 선택 3. 새로운 요인분해체계에 대응한 디비지아 지수 계산식 유도 4. 요인분해 실증분석 제4장 게량모형분석 요소의 통합 1. 요인분해분석 요소의 기저요인 2. 모형의 형태 제5장 결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