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47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47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47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47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의 대외 및 국내 에너지 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 중국, 일본의 신정부가 출범했다. 이전 정부에서 결정되어 채택된 정책을 분석하고 신정부의 정책 방향 변화를 전망함으로써 주요 에너지 현안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기회 및 위협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에너지 효율 개선, 청정석탄 기술,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예견되며, 국내 에너지 산업에서 신규 일자리 창출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에너지의 공급안정성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가스공급망 확충, 전력망 안정화 등 내수균등 실현에 치중하는 모습이 예견된다. 일본은 원전을 대체하는 에너지원 확보 실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와 화석연료를 통한 전력 안정공급에 우선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신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 정책 변화를 전망해보고 우리의 에너지 정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가늠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중국 및 일본의 신정부 출범으로 말미암은 정책적 시사점을 국제관계와 에너지 정책 시각에서 도출하는 데 있다.
목차
제1장 서언
제2장 미국의 에너지정책 및 전망
1. 정책기조와 과제
2. 에너지 수급 개요
3. 에너지정책 평가 및 전망
제3장 중국의 에너지정책 및 전망
1. 국내 정책기조와 과제
2. 에너지 수급 개요
3. 에너지정책 평가 및 전망
제4장 일본의 에너지정책 및 전망
1. 국내 정책기조와 과제
2. 에너지 수급 개요
3. 에너지정책 평가 및 전망
제5장 국제 에너지 시장 및 우니라나에 대한 함의
1. 에너지 안보와 지속 가능성
2. 국제 석유·가스시장에 대한 함의
제6장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