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기본연구보고서 03-01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한 제2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연구책임자
임재규
연구참여자
유동헌, 노동운, 김윤경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3
형태사항
113+123 p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4221대출가능-
자료실P41422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42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42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한국의 2001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148,038천TC를 기록하여 2000년(144,259천TC) 대비 2.6% 증가하였으며, 이는 절대적으로 에너지 소비증가에 기인한다. 2001년 전년대비 배출증가분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에너지부문이 104.2%, 산업공정부문이 -3.5%, 임업부문이 -3.0%, 폐기물부문이 2.2%를 기록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연평균 5.2%의 증가세를 기록하였으며, 1인당 배출량도 1990년 이후 연평균 4.3%씩 증가하여 2001년에 3.13TC를 기록하였다. 한편, 온실가스원단위는 1990년대에 들어 1996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국은 기후변화협약과 관련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이 국제적 협력뿐만 아니라 한국경제의 장기 발전방향과 일치한다는 인식 아래 여러 관련 정책 및 조치들을 추진하고 있다. 2001년에「교토의정서」이행방안의 협상 타결 및 한국의 경제?산업 여건변화 등을 반영하여 2002년∼2004년에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해 나갈 기후변화협약 대응 제2차 종합대책을 수립하였고, 동 대책을 통하여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으로의 이행을 가속화하고 경제 각 부문의 에너지절약 노력을 강화하여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향후 예측되는 기후변화는 한국의 농림수산, 수자원, 연안역, 자연생태계, 건강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기후변화가 초래한 각종 영향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적절히 적응하고자 각 부문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 적응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한국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등 환경 관련 국제기구 및 협의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에서의 한국 위상에 부합되는 수준에서 유엔환경계획(UNEP), 세계기상기구(WMO) 등 환경관련 국제기구 및 협의체에 자금, 기술, 인력을 제공하고 있고, 주변국가와 환경관련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개도국들의 지구환경 보호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지구환경기금(GEF)에도 기간별 550만불 수준의 분담금을 지속적으로 출연하고 있다. 한국의 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커짐에 따라 한국의 분담금 수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기후변화협약과 지구온난화에 대한 교육과 홍보의 강화를 통해 의무부담 방안의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고, 개별 소비주체가 자발적 노력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상별, 수단별, 단계별로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계층별로 차별화된 교육 및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목차
제 1 장 요약 1. 국가 환경 2. 온실가스 배출통계 3. 정책 및 조치 4. 온실가스 배출 전망 5.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수단 6.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7. 연구 및 체계적 관측 8. 교육, 훈련 및 공공인식 제 2 장 국가 환경 1. 지리적 위치 2. 기후 3. 인구 4. 정부 구조 5. 경제 6. 농업 7. 임업 8. 에너지 9. 수송 10. 폐기물 제 3 장 온실가스 배출통계 1. 개요 2. 2001년 온실가스 배출통계 3. 온실가스배출 추이분석 (1990년~2001년) 4. 배출원/흡수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1990년~2001년) 5. 온실가스별 배출량 추이 (1990년~2001년) 제 4 장 정책 및 조치 1.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2. 기후변화협약 대응체계 3. 정책개요 및 추진방향 4. 에너지부문 5. 수송부문 6. 농축산부문 7. 임업부문 8. 폐기물부문 9. 기타 정책 및 조치 제 5 장 온실가스 배출전망 1. 개요 2. 배출전망 종합 3. 배출원/흡수원별 배출전망 제 6 장 취약성평가,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조치 1. 개요 2. 기후의 특성 및 기후변화 전망 3. 농림수산업에 대한 영향 4. 해양에 대한 영향 5. 수자원에 대한 영향 6. 육상생태계에 대한 영향 7. 건강에 대한 영향 8. 적응 조치 제 7 장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1. 재정지원 2. 기술이전 제 8 장 연구 및 체계적 관측 1. 연구 및 기술개발 사업 2. 체계적 관측 3. 정보교환 제 9 장 교육, 훈련 및 공공인식 1. 교육 및 훈련 2. 홍보 및 공공인식 3. 민간단체들의 활동 현황 <참고문헌> <부록 > 제2차 국가보고서 발간 관련기관 및 참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