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1A Study on Feasibility and Implementation of Gas AMI Deployment Project
가스 AMI 보급관련 사업타당성 확보방안 연구
- 연구참여자
- 원두환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ⅳ v v 88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7-88)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85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85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85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85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국내 도시가스 보급은 성숙단계에 진입한 반면, 기계식 계량기 사용으로 인해 검침, 안전, 요금 등과 관련된 민원이 빈발하고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2015년 1월 계량기 관련 실태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로서 계량기 성능/수준 저하, 관리·안전점검 불편 및 애로, 관리책임 모호, 공급계약 관리 미흡 등의 문제점 파악하고, ‘가스 계량/안전/공급 시스템 선진화 추진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후 선진화 계획의 실행이 지지부 한 가운데, 2016년 산업부는 계량선진화 방안으로서 고성능 기기도입을 목표로 하는 ‘가스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보급 계획’(2016. 7. 5)을 발표 하였다.
해당 계획은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대책의 일환으로 약 5천억 원을 추가 투자하여 전국 1,600만호에 가스 AMI 보급을 추진하는 계획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는 가스 AMI 보급을 통해 민원·불편 해소, 검침·안전점검 품질 개선, 도시가스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연관 사업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가스 AMI 보급사업 추진 정책과 관련하여 국내 가스 계량기 주요 현황과 문제점 등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국내 스마트 가스미터 보급 시 발생하는 비용 증감 규모와 편익 추정을 통해 경제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 주요국 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 환경에 맞는 보급 방안 및 비용 분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국내외 가스 계량기 운영과 AMI 추진현황
1. 국내 가스 계량기 운영 현황과 문제점
2. 가스 AMI 도입 필요성 및 특성
3. 국내 가스 AMI 보급 계획 및 추진 현황
제3장 가스AMI 보급이슈와 주요국 추진상황
1. 가스 AMI 보급사업의 주요 이슈
2. 주요국 가스 AMI 추진 상황
제4장 국내 가스 AMI 보급의 비용‧편익 추정
1. 가스 AMI 사업 추진에 따른 비용 변동 요인
2. 가스 AMI 보급에 따른 소비자 편익 산출
3. B/C 산정결과
4. 가스 AMI 사업 추진에 따른 공급자 편익 검토
제5장 가스 AMI 비용 회수 방안 및 정책 제언
1. 비용 적정배분 및 회수 방안
2. 정책 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