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7-06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대비한 전력계통 유연성 강화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안재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viii iii v 96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7-0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3-9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81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81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81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81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7년 출범한 신정부는 에너지 정책 목표로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목표를 20%로 제시하였다. 2030년 정부의 보급 목표를 살펴보면 변동적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발전의 발전량 합계는 총 발전량에서 약 1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년 국가 전원믹스 계획에 따른 전력계통 유연성을 평가하고 선진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비용 효과적으로 계통 유연성을 강화하는 제도를 제안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계통 유연성 평가 모형을 구축한다. 2030년 전력수급 예상 안을 모형에 적용하여 변동적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목표 달성 시 전력계통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선진국의 전력계통 운영 및 제도 개선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국내 전력계통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도를 제안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제2장 변동적 신재생에너지 특성 및 영향
1. 변동적 신재생에너지 특성
가. 장점
나. 단점
2. 변동적 신재생에너지 영향
가. 전력시장제도
나. 변동성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약
다. 운영예비력 변화
제3장 선진국의 전력계통 유연성 강화 사례
1. 전력시장제도
가. 미국
나. 유럽
2. 전력계통 운영 및 풍력예측 시스템 고도화
가. 스페인 신재생에너지 운영 및 예측시스템
나. ERCOT 풍력예측 및 경보 시스템
3. 유연성 전원 확보 메커니즘
가. 비발전기 보조서비스 활용
나. 유연성 자원 확보 의무화
제4장 전력계통 유연성 분석
1. 모형 개요
2. 분석 모형
가. 변동적 신재생에너지 시뮬레이션
나. 순수요 변화 계산
다. 유연성 용량 계산
라. 전력계통 유연성 계산
3. 결과
가. 증발 유연성 분석
나. 간발 유연성 분석
다. 결과 요약
제5장 정책적 시사점
1. 전력시장제도 개편
가. 실시간 시장 운영
나. 전력시장 참여와 규제
2. 전력계통 운영 선진화
3. 유연성 제공자원 확보
<부록> OECD 주요국 전원믹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