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3-11

가구특성별 에너지 소비지출 분석 연구

연구책임자
정윤경 박광수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형태사항
ⅵⅵⅴ69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13-11
서지주기
참고문헌 (69p.)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677대출가능-
자료실P42267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6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6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소득양극화 심화와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저소득가구의 에너지 소비 여건이 크게 악화됨에 따라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에너지지원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에너지 소비 실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원 프로그램이 도입되어 지원의 효과나 효율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신정부는 저소득층에 대한 생활영역별 맞춤형 급여체계 구축을 국정과제의 하나로 설정하였다. 생계, 주거, 교육, 의료급여별로 선정기준 및 지원내용을 차별화하여 분야별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한다는 것이다. 기존 에너지지원 프로그램의 문제를 개선하고 신정부의 복지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저소득층의 에너지 소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의 에너지 소비 실태를 분석한다.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는 다양한 특성 또는 기준에 따라 가구를 분류하고 가구별 에너지 소비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저소득층 에너지 지원 현황 및 문제점 1. 저소득층 에너지 지원 현황 가. 소득지원 현황 나. 가격지원 현황 다. 이용효율 개선 라. 기타 지원 2. 저소득층 에너지지원의 문제점 가. 지원수준의 적절성 나. 형평성 및 지원효과 다. 지원대상과 지원체계 라. 제도적 근거 미흡 제3장 가구 에너지소비 실태분석 1. 소득과 연료비 가. 소득분위별 연료비 추이 나. 소득분위별 월별 연료비 변화 2. 가구원 수와 연료비 가. 가구원수별 연료비 추이 나. 소득분위 및 가구원수별 연료비 3. 주거면적과 연료비 가. 소득분위별 주거면적 나. 가구원수별 주거면적 4. 거처 형태와 연료비 가. 소득분위별 거처형태 나. 소득분위 및 거처별 연료비 5. 입주형태와 연료비 가. 소득분위별 입주형태 나. 소득분위 및 입주형태별 연료비 6. 가구유형과 연료비 가. 소득분위 및 가구유형별 가구특성 나. 소득분위 및 가구유형별 연료비 7. 연료비 과부담 가구 제4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