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기본연구보고서 02-07

유가변동 충격의 파급경로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김영덕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2
형태사항
89p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190대출가능-
자료실P413288대출가능-
자료실P413289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19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328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32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유가충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모형에 여러 가지 변경을 주면서 과연 유가충격의 확산이 어떠한 파급경로를 거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파급경로에 관한 조사를 위하여 거시경제의 일반적인 형태를 기본 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적 VAR를 이용하여 거시경제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응들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유가상승의 충격은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유가 충격시 이러한 경제활동의 둔화는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기본모형에 변수, 시차, 행태식의 변경을 통하여 유가상승의 충격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시차구조, 변수, 행태식 등의 변경에 따른 거시경제 변수의 충격반응 추정 결과, 우리나라의 유가충격은 전통적인 공급충격의 경로를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긴축적 통화정책이 유가상승 충격을 확산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유가충격시 이를 완충하는 정책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가상승 충격이 공급경로를 통하여 확산된다는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 유가충격에 대한 대응정책으로서 산업 및 시장의 경쟁을 촉진시키는 정책이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유가충격에 대한 기존 연구 1. 유가충격에 대하여 2. 유가충격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III. 구조적 VAR 모형의 설정과 식별가정 1. 구조적 VAR 모형의 설정 2. 거시경제 변수와 식별 가정(Identifying Assumptions) IV. 구조적 VAR의 추정 1. 추정 자료와 기간 2. 구조적 VAR의 추정 3. 파급경로에 관한 가설의 설정 V. 추정 결과 1. 기본 모형의 추정 결과 2. 기본 모형의 충격반응함수 3. 시차구조의 변경과 충격반응 4. 에너지가격 변수의 변경과 충격반응 5. 국제유가 변수의 변경과 충격반응 6. 통화당국 행태식의 변경과 충격반응 VI.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의 과제 VII.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