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04
국내 수송용 석유제품 수요의 가격탄력성 변화 연구
- 연구책임자
- 정준환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viv iv 67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64-67)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13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14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1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14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최근 국제 원유가격 수준은 2000년대 중반 이전에 비해 높아지고 있으며 가격 변동성 또한 확대되고 있다. 국제시장 상황에 따라 국내 수송용 석유제품 가격도 급등하는 양상을 띠고 있지만 국내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통념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수송용 석유제품 수요와 가격의 관계에 대해서 다양한 해석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현실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는 실증연구 방식을 택해 시장 수요를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석유제품 수요의 가격 및 소득 탄력성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경제주체들의 행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추정된 석유제품 수요의 탄력성은 정부의 정책수립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수요의 가격 및 소득 탄력성은 석유제품 가격이나 경제주체들의 소득이 변화할 때 해당 석유제품 수요 변화의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탄력성은 석유제품에 대한 적정세율을 결정하는 문제나 석유제품 시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정책들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국내 석유제품 수요의 가격 및 소득 탄력성에 대한 추정이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하는 탄력성의 추정치는 추정기간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시간, 수요량, 가격수준에 따른 탄력성의 변동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만약 다양한 상황의 변화에 대한 석유제품 수요의 가격 및 소득 탄력성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면 석유제품 수요의 분석에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상황변화에 대한 탄력성 변동의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탄력성의 추정의 정확성 및 탄력성 변화의 방향성에 대한 정보는 석유제품 시장에 대한 올바른 정책수립과 정확한 기대효과를 추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석유제품 수요 탄력성에 대한 선행연구
1. 국내시장 수요 탄력성 연구
2. 석유제품 수요 탄력성에 대한 해외의 선행연구
3. 석유제품 수요 탄력성의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제3장 분석모형
1. 시간 및 가격수준별 석유제품 가격 탄력성 분석
2. 수요량 수준별 석유제품 가격 탄력성 분석
제4장 연구자료 및 기초통계
제5장 실증분석 결과
1. 모수함수 회귀모형 추정결과
2. 위수자기회귀분포시차모형 추정결과
제6장 결론
1. 시간 및 가격 수준에 따른 탄력성 변화
2. 수요량 수준에 따른 탄력성 변화
3. 정책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