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9
비전통자원의 기술진보와 Eqqqamp;P 사업 전망
- 연구책임자
- 류지철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ix x x 179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9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35-151)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16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17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16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17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는 안정적 에너지공급확보를 위해 해외자원개발사업을 국가적 에너지정책의제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북미지역에서 일고 있는 ‘셰일가스 혁명’(shale gas revolution) 추세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비전통자원(unconventional resource) 확보 및 개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에너지자원 확보를 도모하고 기업 차원에서는 사업 다각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비전통자원 E&P 사업에 진출할 필요성이 매우 높다.
반면에 비전통자원 E&P 사업은 전통자원보다 대규모 투자비용, 높은 기술력 등을 필요로 하므로 균형 있는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특히, 자원개발의 후발참여국이며 비전통자원 개발의 기술수준이 낮은 우리나라는 이 분야에 적극 진출하기 위해서는 극복하고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산적하여 있다. 또한, 비전통자원의 개발은 기술개발의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좌우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통자원 개발기술과 시장상황변화에 대하여 세계 각국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파악하고, 경제성을 결정하는 기술력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을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배경이다.
이러한 배경 아래에서 설정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진보에 따른 비전통자원 개발양상과 주요 비전통자원별 잠재력을 분석하여, 앞으로 비전통자원 관련 기술진보에 따른 세계 E&P 사업 전망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적극 비전통자원의 E&P 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비전통자원의 종류 및 개발양상
1. 비전통자원의 종류 및 정의
2. 비전통자원의 개발 기술
3. 유가 및 관련 기술개발에 따른 비전통자원 개발추이
제3장 셰일자원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1. 셰일자원 부존 및 생산현황
2. 주요 셰일가스 보유국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에 따른 셰일자원 개발 추이 및 생산비용 변화
4. 셰일자원 E&P사업을 둘러싼 논란과 향후 전망
제4장 CBM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1. CBM 부존 및 생산현황
2. 주요 CBM 보유국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3. 주요 자원개발기업의 CBM 사업진출현황 및 진출전략
4. CBM E&P사업을 둘러싼 논란과 향후 전망
제5장 치밀자원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1. 치밀오일
2. 치밀가스
제6장 오일샌드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1. 오일샌드 부존 및 생산현황
2. 주요 오일샌드 부존국의 E&P 사업현황 및 전망
3. 기술개발에 따른 오일샌드 개발 추이 및 생산비용 변화와 향후 기술개발 동향
4. 오일샌드 E&P사업을 둘러싼 논란과 향후 전망
제7장 주요 비전통자원 개발사업의 추진방안 및 국내 기반 구축방안
1. 우리나라의 비전통자원 개발사업 진출현황
2. 셰일가스 개발확대를 위한 추진방안
3. CBM 개발사업 확대를 위한 추진방안
4. 비전통자원 개발사업 확대를 위한 국내 기반 구축 방안
제8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비전통자원의 생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