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1Comparative Analysis on the Energy Transition Policies in Korea and Other Major Countries

주요국 상대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정책 시사점 연구

연구책임자
이수민, 김창훈
연구참여자
김수린, 최영선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형태사항
vi iv 74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1
서지주기
참고문헌(p.71-74)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838대출가능-
자료실P42683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8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8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효율적인 에너지전환정책 추진을 위해 세계 주요국의 전략 분석 필요 - 에너지전환을 ‘전환’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수반되는 다양한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지표체계의 정립이 요구 - 본 연구는 에너지전환 성과지표로 알려진 대표적인 몇몇 지표체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정책의 실상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대안적 지표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국들과 상대비교를 하여 우리나라 에너지전환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기존 에너지전환 성과지표 평가 - 에너지전환 지표 개선 방향 - 지표체계 구성 및 상대비교 예시 3. 결론 및 정책제언 - 에너지전환의 기술적 차원 여건은 충분히 갖춰진 것으로 보임. -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실적을 활용하기 위한 환류시스템 필요 - 수요측면에서의 에너지 이용형태 혁신을 위한 다양한 정책 모델이 개발될 필요 - 국가경제의 관점에서 에너지전환의 기여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을 필요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주요내용 제2장 기존 에너지전환 성과지표 평가 1. 주요 지표들의 개요 1.1. WEF의 에너지전환지수(Energy Transition Index, ETI) 1.2. WEC의 에너지트릴레마지수(Energy Trilemma Index) 1.3. 세계은행의 에너지 지속가능성 규제 지표(RISE) 1.4. IEA의 에너지전환 지표(Energy Transition Indicators) 2. WEF의 ETI 상세분석 2.1. 주요국과의 비교 (2019년판 vs 2021년판) 2.2. 상위 순위 개도국과의 비교 (2019년판) 3. 소결론 36 제3장 에너지전환 지표 개선 방향 1. 독일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1. 독일의 ‘미래의 에너지’ 지표 1.2. 시사점 2. 지표체계 개선 방향 제4장 지표체계 구성 및 상대비교 예시 1. 지표체계 구성 예시 1.1. 탄소중립 현황 1.2. 구조변화 1.3. 국가경제 기여 2. 주요국 상대비교 예시 2.1. 탄소중립 현황 2.2. 구조변화 2.3. 국가경제 기여 3. 소결론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