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5-02A Study on the Response Strategy of the Oil・Power・Renewable Industry to the E-Mobility Growth(Electricity) (2/4)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 전략 연구(전력) (2/4)

연구책임자
박명덕
연구참여자
김비아, 김재엽, 원두환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 viii 99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5-02
서지주기
참고문헌(p.95-99)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300대출가능-
자료실P42630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30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30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수송 부문에서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는 수단들이 급격히 보급·확산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 - 신규전력수요로 인한 최대부하 시간대의 전력사용량 증가는 발전 및 송·배전설비 증설 또는 수요관리로 대응 - 전력을 사용하는 E-mobility의 친환경성 확대 및 보급 확산 전략이 필요 □ 결론 및 정책제언 - 전기자동차 충전요금제도에 수요관리가 가능한 계절별·시간대별 요금제도의 확대 적용 필요 - 전기요금부과 현실화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가 용이할 수 있도록 지원 要 - 전기자동차의 대기환경개선효과 확산을 위해 전기자동차의 보급확대가 필요하며 연료비 절감을 위한 요금제도가 필요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개요 2. 연차별 연구보고서의 주요 가정 변화 2.1. 전기자동차 보급목표 2.2. 중·장기 전력수급 계획 2.3. 2차년도 연구주제 및 연차별 연구 비교 3. 2차 년도 연구의 연구체계도 제2장 그린뉴딜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력소비량 추정 1. 육상 수송 현황 분석 1.1. 육상수송 차종 및 연료소비 현황 1.2. 승용 부문 연료소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1.3. 화물부문 차종, 연료소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1.4. 전기자동차 보급 현황 2. 차종별 전기 자동차 보급 전망 및 기초정보 분석 2.1. 차종별 전기자동차 보급 전망 2.2. 차종별 주행거리 및 연료소비량 추정 2.2.1. 차종별 연간 주행거리 추정 2.2.2. 차종별 연료소비량 추정 제3장 육상운송 연료전환 효과 분석 1. 육상운송 연료전환 효과 분석의 개요 2.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 2.1. 생산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2.2. 시간대별 전기자동차 충전비중 3. 차종별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추정 결과 3.1. 전기자동차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추정 4. 연료전환에 따른 대기환경 편익 추정 4.1. 연료별 환경피해비용 4.2. 차종별 대기환경 개선 편익 추정 4.3. 그린 뉴딜의 대기환경 개선 편익 추정 제4장 해상운송 전력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추정 1. 해상부문 전력화 연구의 목적 2. 해상운송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규제 현황 2.1. 해상운송 부문 대기오염 물질 배출 현황 2.2. 국내외 해상운송 부문 환경규제 현황 3. 해상운송 부문 기술 개발 동향 4. 해상 부문 선박 및 에너지 소비 현황 4.1. 어업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4.2. 해상운송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5. 해상운송 부문 전력화 전망 5.1. 전기에너지 전환 가능 에너지 소비량 5.2. 해상부문 연료전환에 따른 전력사용량 추정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E-mobility 보급 확대에 따른 최대부하 관리 대응 전략 1.1. 수송 부문 전력사용량 증가가 최대부하에 미치는 영향 1.2. 수송부문 전력화와 최대부하 증가에 따른 대응방안 2. E-mobility 보급 확대에 따른 발전비중 대응 전략 2.1. 수송부문 전력사용량 증가가 대기환경개선에 미치는 영향 2.2.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증가에 따른 전력산업 대응방안 3. E-mobility 보급 확대를 위한 전력산업의 대응전략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