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기본연구보고서 03-13
발전부문 CDM 프로젝트의 온실가스 baseline 연구
CDM baseline methodologies for the electric power sector in Korea
- 연구책임자
- 유동헌
- 연구참여자
- 신정수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3
- 형태사항
- vii 239 p
- 총서사항
- 기본연구보고서 03-1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4245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424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424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424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온실가스 배출원 가운데 중요한 부문 중 하나인 산업공정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하고 있다. 산업공정부문은 비연료연소 배출원 (non fuel combustion sources)으로서 에너지 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전망과는 달리 각 배출원별로 특성이 상이하다.
산업공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활동량 (activity)에 배출계수를 곱하여 합산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그러나 활동량이 산업공정의 특성을 담고 있어 이에 대한 전망이 본 과제의 연구대상이다. 그러므로 배출량을 전망하기 위해 본 과제에서는 원단위 접근법과 함께 상향식 (bottom- up) 접근을 위한 기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계량경제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산업공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광물생산 (mineral production), 화학산업 (chemical industry), 금속생산 (metal production), 할로카본 생산 (production of halocarbon), 할로카본 및 SF6 소비 (consumption of halocarbons and SF6)로 나누어 전망하고 있다. 특히 중요한 배출원인 시멘트 산업과 철강산업에 대해서는 활동량 전망 시 기존의 관련 연구를 참조하여 생산능력과 기타 경제여건을 반영한 모델을 통해 배출량을 전망하고 있다. 철강산업의 경우 가변계수모형 (time varying model)을 통해 철강 소비를 전망하고 있으며, 시멘트 산업의 경우는 시멘트 소비량 추정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시나리오 분석은 경제성장률 차이를 반영하여 기준안에 대한 고성장안 (상한), 저성장안 (하한)으로 설정하고 있다.
산업공정부문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0년에 기준안의 경우 22.1 백만tC (ton of Carbon, 탄소톤)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2002년 배출량 16.9 백만tC에 비해 30%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기준안은 전망기간인 2005~2010년 기간 중에 연평균 3.4%의 증가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상한안은 2005년 18.9 백만tC에서 2010년 23.1 백만tC로 늘어나 연평균 4.1%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하한안은 동 기간 중 3.2%의 연평균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산업공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1. 개 요
2. 국가 온실가스 배출분석
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2002)
나. 온실가스 배출추이 분석 (1990~2002)
3. 산업공정 부문 온실가스 배출추이 분석 (1990~2002)
가. 광물산업
나. 화학산업
다. 금속생산 (철강 및 합금철)
라. 할로카본 및 SF6 생산
마. 할로카본 및 SF6 소비
Ⅲ. 온실가스 배출전망
1. 배출량 추정방법 개요
2. 주요 전망 전제
가. 경제성장 전망
나. 기타 주요전망
다. Drivers
3. 산업별 배출전망
가. 광물생산
나. 화학산업
다. 금속생산
라. HCFC-22 생산
마. 할로카본 및 SF6 소비
Ⅳ. 산업별 배출전망 시나리오
1. 시나리오 설정
2. 시나리오별 배출전망
가. 산업공정부문 종합
나. 광물생산
다. 화학산업
라. 금속생산
마. HCFC-22 생산 및 HFC, PFC 소비
바. 중전기기용 SF6 가스 소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 록> 산업공정부문 배출량 추정방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