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N70029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471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471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N70029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471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471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유가자유화가 석유가격, 석유소비 및 산업 활동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였는지를 세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도입단가와 환율로 표현되는 비용요인의 변화에 대하여 에너지가격, 특히 석유제품가격이 어떻게 반응하였는지를 유가자유화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추정함으로써 유가자유화가 석유제품가격 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석유제품가격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유가자유화 이전에는 규제에 의해 석유제품가격이 상당기간 변화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유가자유화 이후에는 그 변동이 자유롭게 조정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유가자유화 이후에는 비용요인의 변화가 석유제품가격에
신속하게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비용요인의 변화에 대한 석유제품의 가격 조정 반응을 살펴보는 동시에 그 조정 반응이 대칭 적인지 비대칭적 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가자유화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비용요인이 상승하였을 때와 하락 하였을 때, 석유제품가격이 어떻게 조정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대칭성에 대한 분석은 유가자유화에 따라 석유제품가격이 조정되는 특성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경로를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유시장에서의 경쟁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석유제품가격의 조정이 어떻게 유가자유화 이후에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본 후에 도입단가 상승이 에너지소비 특히 석유제품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유가자유화가 시행됨에 따라 비용요인의 변화 등이 가격에 신속하게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가격 변동의 신속성이 석유제품소비에는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유가자유화 이전과 이후로 시기를 나눈 후에' 도입단가 상승에 대한 석유제품의 소비 반응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에너지소비 패턴의 변화는 실제로 산업 활동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활동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유가자유화 이전과 이후로 시기를 구분한 후, 도입단가 상승에 대한 개별 제조업의 산업생산, 생산자가격 및 수출가격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목차
l . 서론
ll. 유가자유화의 배경과 특징
Ⅲ.유가자유화와 원유가변화어에 따른 석유제품가격의 반응
1. 석유가격의 변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도입단가와 환율 변동에 대한 석유제품가격 반응
3. 비용요인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가격반응의 비대칭성
Ⅳ.유가상승에 대한 석유수요의 변화
Ⅴ.유가상승이 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1. 구조적 VAR모형의 설정
2. 식별 가정(Identifring Assumptions)
가. 거시부문의 식별가정
나. 산업부문 구성과 식별가정
3. 추정 자료 및 추정
가.추정자료
나. 거시경제부문의 충격반응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A 석유제품가격의 도입단가와 환율에 대한 비대칭적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