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4-03

한·미·일 석유산업의 생산성 비교

연구책임자
박창수
연구참여자
박광수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형태사항
vi 126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4-03
서지주기
참고문헌(p.91-94)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298대출가능-
자료실P414718대출가능-
자료실P414719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29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47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471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1991년부터 2003년까지의 한국의 5대 석유회사와 일본의 6개 석유회사 및 미국의 12개 석유회사를 본 연구의 표본 집단으로 설정하여 비록 제한된 기업 자료를 이용하였지만, 비모수적(non-parametric) 방법인 맘퀴스트 생산성지수(Malmquist productivity change index)를 통해서 생산성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한·미·일 석유산업의 시장자유화 내용, 기업합병 또는 업무제휴의 현황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에 대한 설명과 기존 연구의 소개, 기업 자료에 대한 설명, 생산성 추정결과에 대한 분석 및 시사점 등의 내용으로 본 연구가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몇 가지 지적하면, 첫째로 자료와 관련된 것으로 생산성 추정을 위해 산출물 및 투입요소에 대한 보다 세밀한 기업 자료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료는 기업의 재무제표 자료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한된 자료로 추정된 생산성은 어느 정도의 한계성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 추정결과에 대한 세밀한 주의를 필요로 함을 밝혀 둔다. 본 연구에서 제기할 수 있는 두 번째 한계점은 본 연구가 설정하고 있는 표본 기업의 자료에 대한 산업 대표성 여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별 기업의 자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국가별 표본 매출액과 산업 전체의 실제 생산액과의 차이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5개 석유회사들의 총매출액은 산업 전체 생산액의 약 60%~90% 수준에 분포되어 있으며, 전 기간 평균 79.3%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6개 석유회사들의 전체 매출액은 한국의 그것보다는 작은 수준이나 실제 산업 생산액의 59.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이한 것은 미국의 경우로 미국 12개 석유회사의 표본 매출액은 실제 산업 전체 생산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 석유회사들의 회계 자료는 연결 재무제표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연결 재무제표에는 석유산업 이외에 속하는 자회사의 매출액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별 기업 자료의 산업대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국의 산업 자료를 이용하여 생산성을 추정하는 것도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다만, 일본의 경우 이데미쓰코싼(出光興産)을 제외한 주요 석유회사들이 표본에 포함되었고, 미국의 경우에도 3대 석유 메이저들이 표본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개별 국가의 산업 대표성 조건을 어느 정도 충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 한국과 일본의 기업 자료는 단일 기업의 재무제표인 반면에, 미국 기업의 자료는 연결 재무제표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결 재무제표는 자회사간의 내부거래를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경영성과를 과대 포장하는 것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 기업의 단일 재무제표는 이러한 내부거래를 그대로 용인한 것이기 때문에 생산성을 과장 추정(overestimate)할 수 있다. 따라서 축소 추정(underestimate)에 비하면 그렇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것으로 본 연구는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의 특성에 관한 것으로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는 주어진 표본 집단에 한정한 상대적 생산성 추정이라는 점이다. 이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의 특성으로써 표본 집단이 다르면, 생산가능곡선 상에 있지 않은 기업들의 생산성 지수도 다르게 측정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한·미·일 전체 기업들을 단일 표본 집단으로 간주하고, 한·일 기업들만을 또 다른 표본 집단으로 분리하여 두 표본 집단에 대해 별도로 생산성을 추정하면 첫 표본 집단에서의 한·일 기업들의 생산성 지수와 두 번째 표본 집단인 한·일 기업만의 생산성 지수는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 론 II. 한·미·일 석유산업 1. 한국의 석유산업  가. 석유산업 추이  나. 석유산업 정책   (1) 석유제품 수입자유화   (2) 석유제품 가격자유화   (3) 석유정제업 및 석유판매업 자유화   (4) 석유시장 개방  다. 석유산업의 구조조정 2. 미국의 석유산업 동향 및 정책변화  가. 석유수급의 구조  나. 석유산업의 추이  다. 석유회사들의 개편 현황 3. 일본의 석유산업  가. 규제강화시기  나. 규제완화의 추진   (1) 제1차 규제완화시기(1987~1995)   (2) 제2차 규제완화시기(1996~2002)  다. 최근 일본 석유산업의 재편 III. 생산성 추정방법 및 기존 연구 1.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2. 기존 실증연구 IV. 사용 자료 1. 사용 자료의 출처 2. 자료 분석  가. 경제적 성과의 비교  나. 자본 구조의 비교 V. 추정결과 및 시사점 1. 전체 표본 집단 내에서의 생산성 비교  가. 전 기간의 생산성 비교  나. 기간별 생산성 비교 2. 개별 국가 표본 집단 내에서의 생산성 비교  가. 한국  나. 일본  다. 미국 3. 혁신 기업의 식별 4. 시사점  가. R&D 투자 및 고도화 시설의 확대  나. 수직 계열화 및 종합 에너지 기업화  다. 관세 조정 VI. 결론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