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14247 | 대출가능 | - | |
지금 이용 불가 (1) | ||||
자료실 | P414248 | 분실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1424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 P414248
- 상태/반납예정일
- 분실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유가의 상승, 특히 유가의 급등은 석유의 수요뿐만 아니라 국민총생산, 고용 및 물가에 영향을 주고, 불경기의 원인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유가충격이 어떠한 경로를 거치면서 확산되는지에 대한 논의는 많이 진행되지는 않은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산업의 생산 등 산업활동에서의 유가충격반응을 추정하여 유가충격의 파급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가의 상승은 크게 두 가지 형태를 가지면서 경제에 파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은 공급충격의 형태인데, 이는 1970년대 유가충격에 대한 설명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논의이다. 이에 따르면 유가상승은 에너지의 공급부족과 생산비 상승으로 직접적으로 생산과 생산성을 둔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수요충격은 유가상승에 따라 소비자의 가처분소득이나 구매행태가 변화하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되어 구매가 줄고 이에 따라 산업생산이 위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 충격에 대한 식별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문에 대한 유가충격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거시경제부문과 산업부문을 포함하는 구조적 VAR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거시경제부문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응함수를 도출하고, 또한 산업부문에서의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의 반응을 도출하여 두 충격의 형태가 어떤 산업에서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산업부문은 서로 다른 세 가지 모형을 구성하였는데, 산업생산과 가격 모형, 출하와 재고/출하비율모형, 생산, 수입 및 수출가격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서로 다른 세 모형은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 반응의 성격 규명에 보다 많은 정보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거시경제부문에서 유가충격에 대한 거시경제변수들의 반응함수를 도출함으로써 유가충격에 대해서 단기에 변동성이 존재하나 장기적으로 산업생산이 지속적 둔화하며, 소비자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통화량, 이자율, 환율 등의 변화에 변동성을 심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거시경제부문에서 통화정책을 모형에 포함하여 통화정책의 유가충격에 대한 효과를 내재화할 수 있었고, 이는 유가충격의 고유한 영향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통화정책에 대한 충격반응을 도출한 바에 따르면 통화정책에 대한 거시경제적 반응은 기존의 실증연구나 경제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거시부문에 덧붙여 산업부문에 대한 세 가지 다른 모형을 분석하여 보다 면밀한 형태의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활동의 반응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산업부문 모형에서는 산업생산과 가격을 산업모형으로 구성하여 개별산업의 유가충격에 대한 생산과 가격의 반응을 추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리 나라 산업은 수요위축에 따른 유가충격반응과 공급둔화에 따른 유가충격반응이 동시에 산업별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다소비산업에서는 생산비상승에 따른 직접적 생산둔화를 발생시키는 공급충격 경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산업부문 모형에서는 산업출하와 재고/출하비율을 모형으로 구성하여 이들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응함수를 도출하였다. 이 충격반응함수의 추정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공급측면의 충격과 수요측면의 충격이 산업별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에너지다소비산업에서 공급충격의 경로를 통해 유가충격이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외수출가격과 수입가격을 생산자가격에 대비하여 산업생산과 함께 모형에 포함하여 구성한 모형에서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국내에서의 생산비상승에 따른 생산둔화의 충격과 해외에서의 수출수요 위축에 따른 수요충격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는 우리 산업이 유가충격에 대해서 이중의 부담을 겪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하여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의 반응을 도출한 결과, 거시경제의 유가충격은 기대한 바와 같이 장기적 생산둔화와 물가상승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산업부문에서는 생산비 상승에 따른 생산둔화와 수요위축에 따른 생산둔화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에너지다소비산업에서는 공급충격에 의하여 유가충격이 확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별 산업에서 장기적으로 산업생산이 둔화되는 반응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유가충격에 따른 산업간 요소이동은 유가충격의 영향 면에서는 비중이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I. 서 론
II. 유가충격에 대한 기존 연구
1. 유가충격에 대하여
2. 유가충격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III. 구조적 VAR 모형의 설정과 식별가정
1. 구조적 VAR 모형의 설정
2. 식별 가정(Identifying Assumptions)
IV. 구조적 VAR의 추정
1. 추정 자료, 기간 및 시차선택
2. 구조적 VAR의 추정과 파급경로에 대한 가설
V. 추정 결과
1. 거시경제부문의 추정 결과
2. 거시경제부문의 충격반응함수
3. 산업부문의 유가충격에 대한 반응
VI.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