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21
에너지설비산업의 해외진출 확대 연구: 중앙아시아 아프리카권
- 연구책임자
- 정웅태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209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21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43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43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4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4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 해외에너지 설비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중동과 같은 특정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그 지역의 발주여건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산업 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수주 포트폴리오의 다변화가 필요한데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새로운 에너지 및 자원개발 대상지역이자 중동지역에 버금가는 에너지공급 잠재력이 풍부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정부의 자원개발 의지로 인해 전력이나 에너지 관련 설비와 같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지역에는 이미 기술력을 가진 외국 선진기업들 뿐 아니라 풍부한 자금 지원을 정부에서 제공 받거나 직접 제공하고 있는 중국 및 일본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하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강점을 가진 유망분야에 선택적 집중 투자를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 지역에 진출확대가 필요한 에너지 설비사업 부문을 크게 석유가스 부문, 전력설비 부문, 신재생설비 부문 등으로 나누어 각 부문별 진출 우선 국가를 선정한 후 우리나라 기업들이 선정된 국가에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정부지원 정책 방향 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프리카 주요 대상국은 북부아프리카를 대변하는 알제리와 리비아,서부 아프리카를 대변하는 나이지리아, DR콩고, 앙골라 그리고 남아공화국 등 6개국이며, 중앙아시아 주요 대상국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그리고 아제르바이잔 등 4개국으로 10개국 모두 주요 자원보유국들이다. 본 연구는 이들 국가에 대한 우리나라 에너지산업의 진출 전략 수립에 기본 자료로 활용하며 정부의 에너지산업 해외진출 투자촉진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 제시 및 주요 개도국에 대한 외교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에너지 산업 현황과 특징
1. 정치·경제 현황
2. 에너지 및 자원개발 현황
3. 에너지 산업 현황과 잠재력
제III장 설비산업 진출 전략국가의 선정
1. 전략국가의 선정기준
2. 전략국가의 선정
제Ⅳ장 전략국가별 설비산업 진출환경 및 전략분석
1. 석유 및 가스 분야
2. 전력 분야
3. 신재생 설비 진출 전략 국가
제Ⅴ장 종합 진출 전략
1. 우리 에너지 설비 기업들의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역 진출현황 분석
2. 국가별 특성에 맞는 진출 전략
3. ODA, EDCF 등을 활용한 진출 전략
4.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진출 저변 확대 전략
5.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확대 추진
VI. 결론 (기업 및 정부 지원방안 제안)
1. 기업 진출 확대를 위한 제안
2.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
참 고 문 헌
<부록>
기본10-21 에너지설비산업의 해외진출 확대 연구-중앙아시아·아프리카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