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14

신재생에너지 부품 소재 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산업화 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이철용
연구참여자
이상열, 손범석, 이상호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형태사항
133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1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0422대출가능-
자료실P42042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04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04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세계경기가 회복되고 미국 및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을 정책기조로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에 있어서 시스템부문의 기술수준은 높으나 부품·소재부문의 낮은 기술수준과 경쟁력으로 인해 향후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산업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관련 국내기업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방안 및 수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 산업화와 육성전략과 관련하여 산업연구원(2009, 2010), 한국수출입은행(2010), 삼성경제연구소(2008), 경기개발연구원(2009) 등에서 많은 진척이 있었고 다양한 육성방안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기존연구에서는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을 위해 설문과 같은 정성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데 머물러 있으므로 정량적인 연구를 통해 객관적인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시장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계량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여 국내 신재생에너지 주요 부품·소재산업의 현 위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산업의 문제점 진단을 통해 수출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고 전략이 효과적으로 구사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업체가 수출산업화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효과적인 해외진출 전략을 제시하여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수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제I장 서론 제II장 기존문헌 고찰 1. 국가단위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육성방안 연구 2. 지역단위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육성방안 연구 제III장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산업 및 시장동향 1. 태양광산업 2. 풍력산업 3. 연료전지산업 제IV장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산업의 문제점 분석 1. 태양광 부문 2. 풍력 부문 3. 연료전지산업 부품·소재분야의 문제점 제V장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산업의 비교우위 분석 1. 비교우위 분석 방법론 2. 원별 부품?소재산업의 비교우위 분석결과 제VI장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수출전략 및 파급효과 분석 1.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수출활성화 전략 2. 효과적인 해외진출 전략수립 3.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수출활성화를 통한 경제파급효과 제VII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 고 문 헌 부록1 :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산업화 정책토론회 개최내용 부록2 : 기업의 해외진출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