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33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 저탄소 경제체제 구축전략 수립
- 연구책임자
- 김현석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85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3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46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46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46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46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Parties: COP)에서 타결될 것으로 전망되던 post 2012 기후변화 협상은 현재 멕시코 칸쿤에서 지속되고 있다. 코펜하겐 어코드(Copenhagen Accord)를 기반으로 각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스케줄을 포함하는 협상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2년 이전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체제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이 있는 선진국(부속서 I 국가)과 '의무부담'이 없는 개발도상국(비부속서 I국가)국가로 이분화되어 진행됨으로써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비켜나 있었다. 하지만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기점으로 기후변화 대응 체제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들에게도 책임 있는 역할을 요구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도 2009년 8월 3가지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발표하고 2009년 11월 16일에는 우리나라의 중기(2020) 감축목표를 기준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0% 감축으로 결정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에는 반드시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수반한다. 따라서 2008년 2009년 2개 연도에 걸쳐서 온실가스 감축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소비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탄소 경제체제를 구축에 대응하고자 한다. 특히 산업구조조정, 에너지믹스, 에너지원단위, 온실가스배출원단위 등에 대한 파악을 통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 어떠한 관점에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저탄소체제를 마련하는데 보다 효율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외국의 에너지부문의 저탄소 정책 추진 현황
1. 영국
2. 독일
3. 미국
4. 일본
Ⅲ.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론
1. 선행연구
2. 연구방법론
3. 국내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4. 분석자료
Ⅳ. 요인분해 요소별 변화 경향
1. 국내 제조업 에너지 소비 요인별 분석
2. 국내 제조업 온실가스 배출 요인별 분석
Ⅴ. 요인분해 분석결과
1. 제조업의 에너지 소비 요인분해
2.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
Ⅵ. 정책적 시사점
1. 국내 제조업의 에너지 소비 요인분해를 통한 시사점
2. 국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분해를 통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